- 영문명
- Selection of the Expectation Factors of the List of Lexical and Grammatical Items Designed to Develop the Readability Formula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고승연(Seung-yeon KO)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11권 2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읽기 텍스트는 학습자의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학습자에게 알맞은 수준의 읽기 텍스트를 제공 하기 위해서는 이독성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에서의 이독성은 양적인 부분과 질적인 부분 모두에서 연구 성과가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텍스트의 난이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독성 공식의 개발을 목적으로 공식 개발의 기준이 되는 어휘와 문법 항목을 선정하고 어휘 기대요인을 선정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selected the expectation factors of the list of lexical and grammatical items with an aim to develop the readability formula, which is the statistical assessment of the effect of vocabularies, grammatical items and the expected factors on the standard paragraph. Creating this readability formula requires the criteria to select lexical and grammatical items, and most preceding researchers selected them under the influence of readability studies on English and Korea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has selected lexical and grammatical items that serve as the bases of the readability formula as well as the vocabulary expectation factor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vocabularies and grammar items studied by some official institutions on a national level and selected the lexical and grammatical items Han Song-hwa(2015) and Yang Myung-hee (2015) as the most reliable ones as well as the lexical expectation factors. The lexical and grammatical difficulty and the expected factors are critical elements that have a direct effect on analyzing the degree of difficulty for text. Studying the readability of the Korean language without the objective criteria is subject to a risk of bringing the result tailored to the researcher's objective.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has set the criteria for lexical and grammatical items, and lexical expectation factors. This study will pave the way for more objective and reliable follow-up studies for readability of the Korean language.
목차
1. 들어가며
2. 이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선행연구
4. 한국어 어휘와 문법 항목 선정
5.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