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pplication scheme study of extensive reading classes that target the married woman immigrants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양민철(Min-cheol Yang) 김혜진(Hye-j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11권 1호, 47~6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특성과 열린 읽기(Extensive Reading)와의 관계를 밝히고 일반적인 열린 읽기와 비교하여 여성결혼 이민자의 특성과 교실 환경에 맞는 변형된 열린 읽기 수업의 적용 방안으로 묵독이 아닌 소리내어 읽기, 대화하며 읽기 등의 기법 활용, 읽기 도우미(Reading supporter) 배치, 교실 밖과의 연계를 위한 SNS 활용 등 실제적으로 효과가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 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수업을 통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정의적 영역(자신감 상승, 흥미도 등) 및 이해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밝혔으나, 구체적인 수업의 효과에 대해서는 입증하지 못한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ried woman Immigrants and the extensive reading and in suggesting the detailed methods which could actually work as the application plans for the modified reading class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ried woman Immigrants and class environment, including reading aloud, not reading silently, reading along with talking, assignment of reading supporters, and the use of SNS for connecting with the out-of-class activities. Further, while the class in this method is proved to be effective in the affective aspects ( a rise in confidence, interest, and etc.), the remaining tasks are to prove its concrete effectiveness during the classe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여성결혼이민자의 특성과 열린 읽기와의 관계
4.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열린 읽기 수업의 적용 방안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확장학습이론에 관한 문헌 분석: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 대학 강의평가 문항 개선 및 타당화 연구: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교수자 개인 요인이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 D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