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이용수 42
- 영문명
- Needs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Re-education Programs for KOICA Korean Language Education Volunteer Members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혜(Ji-hye Kim) 심상민(Sang-min Sim) 윤경원(Kyeong-won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16권 1호, 1~3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의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봉사단원들의 요구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KOICA는 연간 200명 이상의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개발도상국으로 파견하여 국외에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보급하고 있다. 봉사단원의 자격이기는 하나, 한국어 교사로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한국어교육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봉사단원은 국내에서의 한국어교육 경험이 부족하고 전공자가 아닌 경우가 많아 활동 종료 후 경력을 잘 이어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봉사단원들이 한국어 교육자로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과 봉사단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32명의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대상으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및 내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이 전문성을 제고하여 경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첫째, 시대적 변화에 맞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한국어 교수 역량을 강화하고, 둘째,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익히고, 셋째, 현지 학습자의요구와 상황에따라 유연하게 교육과정을 수정 및 개선할 수 있어야 하며, 넷째,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IK) 등에 대비할 수 있는 실제적인 수업 운영 능력이 있어야 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사로서 자신의 향후 진로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volunteer members’ needs to develop teacher re-education programs for teaching competence development for KOICA Korean teachers. Over 200 KOICA’s volunteers are sent every year to developing countries in order to introduce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lthough playing important roles in teaching Korean in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these volunteer members seem to have difficulty in continuing their Korean teaching careers after their volunteer missions. This is because many of them did not major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have not had relatively enough teaching experience in Korea. To help the volunteers continue their career as Korean teach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education programs based on practical understanding of actual teaching sites and the volunteers’ situations. To deal with this issu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sking 132 KOICA’s Korean language education volunteer members about the direction of teacher re-education programs for them. In the result, four guidelines for enhancing their career competitiveness have come into view: a) strengthening teaching skills online to meet this new contact-free era, b) practical teaching training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c) flexible curriculum modification to meet the needs of local learners and teaching conditions, and d) practical teaching skills for preparation of Korean tests, such as TOPIK and EPS-TOPIK. In addition to the result, the volunteers want trainings for career path development as Korean teacher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설문 대상 및 방법
4. 설문 결과 분석 및 논의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얀마인 다문화가정 자녀의 어휘 습득 양상 - 국내 거주 미얀마인 다문화가정의 미취학 자녀를 대상으로
- Skype를 활용한 일대일 자유 대화에서 나타나는 구어 오류 양상 연구 - 일본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하브루타를 활용한 한국어 혼합형 수업 사례 연구 - 논쟁 중심 하브루타를 중심으로
- 중국 대학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텍스트 유형별을 중심으로
- 한국어능력시험 교재에 나타난 성 고정관념 분석 - 듣기 영역을 중심으로
- 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 다문화가정 유아 대상 한국어교육의 문제점과 제언 - 다문화정책 유치원을 중심으로
- ‘인생/삶’의 구조적 은유 양상 - 최근의 인터넷 자료(1999~2022)를 중심으로
- 아프가니스탄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청취 오류 양상 연구 - 아프가니스탄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