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브루타를 활용한 한국어 혼합형 수업 사례 연구 - 논쟁 중심 하브루타를 중심으로
이용수 19
- 영문명
- A Case Study of Korean Blended Class Using Havruta - Focusing on the controversial Havruta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엄지은(Ji-eun Oum)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16권 1호, 59~8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혼합형 학습 환경에서 하브루타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적용한 교수 학습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브루타 이론을 토대로 학문 목적 유학생을 위한 ‘논쟁 중심 하브루타 수업’을 모형을 설계하고 온라인-오프라인 학습 환경에서 수업을 적용하였다. 학습자의 인터뷰를 통해 ’의사소통 말하기 능력 향상‘, ’사고력 확장‘, ’자기 주도적 학습‘, ’활발한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하브루타 수업 모형을 제시하여 혼합형 학습 환경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Korean language teaching model using Habruta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nd to find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it. Based on the theory, a model was designed for the ‘argument-oriented Habruta class’ for international students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class was applied in an online-off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effects of 'improving communication and speaking ability', 'expanding think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active interaction' were confirmed through the interview of the learner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a class model that can induce active interaction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by presenting a Habruta class model for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하브루타를 활용한 혼합형 한국어 교수 학습 모형 설계
4. 하브루타를 활용한 혼합형 한국어 교수 학습 효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얀마인 다문화가정 자녀의 어휘 습득 양상 - 국내 거주 미얀마인 다문화가정의 미취학 자녀를 대상으로
- Skype를 활용한 일대일 자유 대화에서 나타나는 구어 오류 양상 연구 - 일본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하브루타를 활용한 한국어 혼합형 수업 사례 연구 - 논쟁 중심 하브루타를 중심으로
- 중국 대학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텍스트 유형별을 중심으로
- 한국어능력시험 교재에 나타난 성 고정관념 분석 - 듣기 영역을 중심으로
- 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 다문화가정 유아 대상 한국어교육의 문제점과 제언 - 다문화정책 유치원을 중심으로
- ‘인생/삶’의 구조적 은유 양상 - 최근의 인터넷 자료(1999~2022)를 중심으로
- 아프가니스탄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청취 오류 양상 연구 - 아프가니스탄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