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글로벌 시대, 한국 술 브랜딩

이용수  28

영문명
The Branding of Korean Alcoholic Beverage, ‘Suul’: Its meaning and outlook
발행기관
우리술학술원
저자명
박선욱
간행물 정보
『술과문화』제1권, 5~3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과학기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술에는 이름이 없다. 한국의 전통술은 그저 ‘정종’이라든가 ‘코리안 와인’ 심지어는 ‘코리안 사케’라고 불리어진다. 대량생산되고 있는 공장형 ‘소주’와 ‘막걸리’는 둘 다 한국의 음식 문화에 대한 오해를 야기할뿐만 아니라, 국민건강이라는 측면에 있어 잠재적 위해 요소를 지니고있다. 반만 년 역사의 한국의 술과 문화는 세계의 보물이자 현대 식품과학과 산업 영역에 있어서 중요한 분야이다. 이제는 한국의 술이 중요 문화유산으로서 글로벌 무대에서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을 때가 되었다고 여겨진다. 한국 술이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을 끌려면 통일된 목표 설정과 함께 전략적이면서도 지속성을 담보한 브랜딩 계획, 그리고 무엇보다 장기적인 투자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 담고자 하는 논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한국 술의 현재 위치와 관련하여 한국 술의 독특한 특성이 갖는 고유한 자산과 도전 과제를 고찰하는 것이고, 둘째는 이에 관한 지대한 관심과 공감을 기꺼이 공유하려는 개인 또는 단체와 함께 그 목적과 비전에 도달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Korean alcoholic beverage is nameless in the overseas market. Often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such as “Jeongjong”, are called “Korean wine” or “Korean sake” out of convenience. Mass-produced Soju and Makgeolli are both misrepresentations of refined Korean culinary culture and potential threats to people’s health. The 5000 years of Korean alcoholic beverage culture should be a world treasure and an important research area in the contemporary food science industry. It is time for this significant piece of Korean heritage to claim its well-deserved appreciation in the global arena. Branding Korean alcoholic beverages to gain recognition in the global market would require a unified objective by the Korean people followed by a long-term investment in perspective planning, a strategic branding plan, persistence, and patienc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a few unique characteristic assets and challenges involved in this task, along with a few theoretical approaches and their purpose and vision, with the individuals and groups who share similar concerns and empathy regarding the current position of Korean alcoholic beverages.

목차

1. 서론 ― 한국어 ‘술’과 한국 술의 명칭
2. 브랜드와 브랜딩
3. 한국 술 브랜딩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욱. (2022).글로벌 시대, 한국 술 브랜딩. 술과문화, 1 (), 5-32

MLA

박선욱. "글로벌 시대, 한국 술 브랜딩." 술과문화, (2022): 5-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