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Face-to-Face and Untact Classes according to College Student Commuting Hours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엄상현(Sanghyun Eo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20권 제4호, 91~10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COVID-19와 대학 학령인구의 감소로 비대면 수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은대면/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공통된 인식을 규명하고, 통학 시간과 두 수업 방식의 인식 차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면/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339명의 응답내용을 주제 구분별 내용분석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대면/비대면 수업의 인식은 ‘경제성’, ‘상호작용’, ‘자기관리’, ‘학습효과’, ‘학습방법’, ‘교육환경’, ‘없음’으로 분류되었다. 내용분석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대면 수업에서는 상호작용과 학습효과가 두드러지는 장점으로 나타났고, 비대면 수업은 경제성 부분이장점으로 나타났다.
통학 시간에 따른 대면/비대면 수업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카이스퀘어 검증과 본페로니 사후검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면 수업 단점의 요인별 차이와 비대면 수업 장점 중 경제성 면에서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터뷰 결과 대면 수업이 상호작용, 학습효과 면에서 비대면 수업보다 우수하게 느껴짐에도 불구하고 통학 시간이 긴 학생들은 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비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대학 캠퍼스의 고립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대면/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양상이 극명하게 나타난다는 점과 한 학기에 두 가지 교육방법을 적용하였기에 각 수업방식의 특성을 파악하기에 짧은 실험 기간이다.
마지막으로, 급변화하는 시대에 과거의 교육을 돌아보고 현대사회에 적용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의 개선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importance of Untact instruction is being emphasized due to COVID-19 and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This paper investigated learners' common perceptions of face-to-face and Untact instruction, and analyze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school hours and the two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understand learners' perceptions of face-to-face and Untact classes, 339 responses were analyzed by subject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the perception of face-to-face and Untact classes was classified into ‘Economics’, ‘Interaction’, ‘Self management’, ‘Learning effectiveness’, ‘Learning method’ ‘Learning environment’ and 'none'.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on content analysis, interaction and learning effects were found to be remarkable in face-to-face classes, and Untact classes were found to be economical.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according to school hours, chi-Square verification and Bonferroni post-hoc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conomic feasibility among the factors of face-to-face class shortcomings and the advantages of Untact class. According to the interview results, although face-to-face classes feel superior to Untact classes in terms of interaction and learning effects, students with long commuting hours prefer Untact classes due to economic factor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due to the geographical isolation of the university campuses, the perception of face-to-face and Untact is evident and Since two teaching methods were applied in one semester, it is a short experimental perio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aching method.
Finally, in a rapidly changing era, it was suggested to look back on past education and improve it as a way to apply it to modern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