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Development and Art, Culture: Using the Example of Hamburg in Germany and Baltimore in the United States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김동조(Dong-Jo Ki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20권 제4호, 73~8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고에서는 장기적인 정부 구조의 영향, 문화정책의 예산 관련 권한과 그것의 결과가 예술가, 예술, 문화기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독일의 함부르크와 미국의 볼티모어 비교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예술과 문화에서 창의성 증진은 도시의 일차적 관리(1차 거버넌스)와 이차적 관리(2차 거버넌스), 두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은 주로 실증주의 존재론 논리에 기반해 계층에 의해 조직된 하향식 계획 체제이다. 우선 정책의 최상위에서 그 도시의 문제를 파악하고 계획을 세운 후, 이에 대한 해결 전략을 찾아서 하나하나 실행하고 집행한다. 함부르크의 문화 정책은 이 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두 번째 유형은 도시 개발의 거버넌스와 관련해서 이러한 선험적인 사전계획을 세우지 않고관리한다. 여기에서 아이디어는 위로부터 나온 것이 아니다. 대신에 정책과 행정은 예술과 문화를 기반으로 한 기존의 개발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이를 근본적으로 장려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행하는정책과 행정은 풀뿌리 수준에서 자치적인 시민사회 시스템을 활용하고 그들의 목표 실행을 지원한다.
하지만 볼티모어에서는 이러한 독립적인 창의성의 거버넌스조차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유럽의 레크비츠의 관점에 기초한 유형을 미국식 자유 방임주의 전통에 더 잘 맞는 제3의 거버넌스로, 즉 도시의 문화 구조 개발에 대해 국가의 개입이 없는 제3의 도시 관리로 보완하는 것을 적절하다고 본다. 예를 들어 볼티모어의 경우, 두 번째 유형의 도시 관리의 일부인 상징적인 지원을 제외하고는, 다른개입이 없는 점이 예술의 발전과 창의성 개발에 잘 적용되었다. 반면, 함부르크의 연방주 문화 개입 정책은 최근의 대세와는 거리가 멀고, 예술의 창의성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influence of long-term governmentality structures, the budget-based power of cultural policy and the resulting consequences for artists, art and cultural institutions become clear through the comparison. The promotion of artistic-cultural creativity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first- and second-order urban controls.
First-order governance is a hierarchically organized, top-down planning regime based primarily on a positivist ontological logic. First of all, the city's problems are recognized and defined at the political top, then solution strategies are found, which are then implemented or enforced point by point. Hamburg's cultural policy can be assigned to this type.
In contrast, second-order urban control does not require this a priori planning. Here the ideas don't come from above; Instead, politics and administration pay close attention to existing developments on the artistic and cultural basis and then fundamentally promote them. Politics and administration acting in this way uses self-governing civil society regimes at the grassroots level and supports them in the implementation of their goals.
But even this control of independent creativity is not important in Baltimore. Therefore, I am supplementing the typolog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continental European Reckwitz with a third-order control that better fits the US tradition of governmental laissez-faire: the absence of urban-state intervention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structures. For Baltimore, this exclusion - with the exception of symbolic support as part of second-order control - has been good for artistic and creative development. The state's cultural intervention policy in Hamburg, on the other hand, seems to be detrimental to the development of artistic creativity that is far removed from the mainstream and also risk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도시발전의 요인으로서의 예술과 문화
Ⅲ. 문화정책의 영향력: 볼티모어와 함부르크 비교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