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담형태론을 통한 폴아웃3 서사분석

이용수  24

영문명
Analysis Fallout 3 Narrative through Folklore Morphology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유경민(Kyoungmin Ryou) 김지영(Jiyoung Kim) 이승권(Seungkwon Lee)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20권 제2호, 99~11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2년 10월 공영방송 EBS는 다큐멘터리 ‘게임에 진심인 편’을 방영하며, 게임은 국민의70%가 경험한 대중적인 오락거리임을 알렸으며, 국회는 2022년 9월 7일 문화예술 진흥법 개정을 통해게임을 대중예술로 인정하였다. 본고는 대중예술이 된 게임이 지니고 있는 여러 문화예술요소 가운데서사에 방점을 두고 베데스다사가 2008년 발매한 ‘폴아웃 3’의 주인공 ‘방랑자’의 서사를 민담형태론의31가지 기능으로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분석대상으로 삼은 폴아웃 3에서는 민담형태론에서 나타난방랑자의 서사가 기능별로 나타났으나, 표시(J)와 인지(Q)기능은 발견되지 않았고, 공주, 혹은 공주의부친에 해당하는 인물 또한 결여되었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서사의 분화는 파견(↑)과 증여자의 첫번째 기능(D) 사이, 두 나라사이의 공간이동(G), 와 투쟁(H)기능 사이에서 서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선택이 발견되었으며, 서사에 영향을 미치는 선택은 황무지의 물 정화를 성공하는 해결(N) 하는 선택과 황무지의 물에 바이러스를 살포하여 돌연변이를 몰살하는 해결(Nn) 하는 선택이 발견되었다. 분석결과 게임 또한 민담과 같은 서사구조를 통해 문학적 예술기능을 수행함이 나타났다. 본고의 연구결과를 통해 더 많은 게임의 서사분석을 통해 게임 매체의 예술, 문화, 문학적인 부분이 조명받기 바란다.

영문 초록

In October 2022, EBS, a public broadcaster, aired a documentary titled 'The Serious Part about Games', announcing that games are a popular pastime experienced by 70% of the people, and the National Assembly on September 7, 2022 to revise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Through this, games were recognized as popular art. This study analyzed the narrative of ‘Wanderer’, the main character of ‘Fallout 3’ released by Bethesda in 2008, with 31 functions of folktale morphology, focusing on narrative among the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elements of games that have become popular art. As a result of the study, in Fallout 3, which was analyzed, the wanderer's narrative appeared in the folktale morphology appeared by function, but the display (J) and cognitive (Q) functions were not found, and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princess or the princess's father was also found. was lacking Differentiation of the narrative by the user's choice is a choice that does not affect the narrative between dispatch (↑) and the first function of the donor (D), movement between two countries (G), and struggle (H) function. The choice that affects the narrative was found to be a choice to successfully purify the wasteland's water (N) and a choice to annihilate mutants by spraying viruses into the wasteland's water (N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games also perform literary and artistic functions through narrative structures such as folktale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it is hoped that the artistic, cultural, and literary aspects of game media will be illuminated through more narrative analysis of gam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및 가설수립
Ⅲ. 민담형태론에 따른 폴아웃 3의 서사구조
Ⅳ. ‘배드엔딩’ 요소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경민(Kyoungmin Ryou),김지영(Jiyoung Kim),이승권(Seungkwon Lee). (2023).민담형태론을 통한 폴아웃3 서사분석. 유라시아연구, 20 (2), 99-113

MLA

유경민(Kyoungmin Ryou),김지영(Jiyoung Kim),이승권(Seungkwon Lee). "민담형태론을 통한 폴아웃3 서사분석." 유라시아연구, 20.2(2023): 99-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