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Ways to Raise Consensus on 'Unification Policy' through the Use of 'Metaverse': Focusing on the Unification Policy of the Yoon Suk Yeol Government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김남성(Namsung Ki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20권 제2호, 77~9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남북 분단 후 약 70여 년이 흘렀지만, 한반도를 둘러싼 수많은 난제들은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다. 특히 북한의 핵무기 개발로 인해 '한반도 비핵화'는 위태로운 상황이며, 시간이 갈수록 전(全) 세대에 걸쳐 통일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줄어들고 있는 상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本)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ICT 기술인 메타버스의 특성과 장점을 활용해 통일정책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언뜻 통일정책과 메타버스의 조합이 다소이질적으로 보일 수 있다. 이는 아직 학계에서 통일문제와 메타버스를 연결한 논문과 담론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차세대 인터넷 기술인 메타버스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집약된 것이고 향후 메타버스 활용은현재 인터넷 사용처럼 필수적이다. 특히 메타버스의 여러 가지 특성 가운데 재미, 몰입감, 쌍방향성 등의 특성을 활용한다면, 통일정책을 실행할 때 국민적 공감대 확산, 통일 의식 제고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주장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역대 정부와 윤석열 정부의 통일정책을 정리한 후, 메타버스를 활용해 통일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제시했다. 즉 메타버스의 네 가지 특성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거울세계 (Mirror Worlds), 가상세계(Virtual Worlds) 등을 활용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을 효과적으로 홍보, 교육할 수 있다. 또 라이프로깅(Lifelogging)으로 약 3만 5000명이 넘는 탈북인들의 삶을 한국인들과 비교, 정리해 통일 이후의 남북한 통합을 위한 효율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bout 7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but many difficulti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have yet to be solved. In particular,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at stake due to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and expectations and interest in unification are decreasing over time for the entire gener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discusses way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unification policies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metaverse, a key ICT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t first glance, the combination of unification policy and metaverse may seem somewhat heterogeneous. This is because there is still an absolute lack of papers and discourses in academia that connect unification issues and metaverse.
However, metaverse, the next-generation Internet technology, is a combin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the use of metaverse in the future is essential like the current use of the Internet. In particular, this paper argues that if characteristics such as fun, immersion, and interaction are used amo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various effects such as spreading public consensus and raising unification awareness can be achieved when implementing unification policies.
To this end, this paper summarized the unification policies of the previous and Yoon Suk Yeol governments and proposed policy measur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unification policies using metaverse. The four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Augmented Reality, Life Logging, Mirror Worlds, and Virtual Worlds, can effectively promote and educate the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It will also be able to compare and organize the lives of more than 35,000 North Korean defectors with South Koreans and use them as efficient data for futur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목차
Ⅰ. 머리말
Ⅱ. 역대정부의 통일정책 검토
Ⅲ. 메타버스의 특성과 통일정책 적용 가능성
Ⅳ. 윤석열 정부의 통일정책과 메타버스 활용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