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의 단원 설계 실행연구

이용수  451

영문명
Action Research on Unit Design in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민수(Minsoo J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239~26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15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의 역량형성 관점에서 2022 개정교육과정의 배경을 살펴보고,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의 단원 설계 및 실행을 통해 초등학교 교실수업의 적용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자문그룹과 워킹그룹을 조직하여 6개월에 걸쳐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을 실행하였다. 특히 실행연구의 틀을 ‘이해-탐색-코칭-실행-성찰’ 단계로 마련하여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을 명료화-구조화-구체화-정교화하였다. 또한 의도적 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을 교수학습 맥락에서 개별교실수업과 협력교실수업으로 구분하여 실행하고, 수업의 단원 설계 및 적용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은 탐구학습을 통해 얻은 지식과 정보를 연결하여 핵심개념을 형성하고 다양한 상황과 맥락으로 전이하는 ‘깊이 있는 학습’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개별교실 수업모형(문제의 이해, 해결계획 수립, 해결계획 실행, 해결과정 검토)과 협력교실 수업모형(중심문제 발견, 아이디어 생성, 교호적 상호작용, 실생활 응용)의 단원 설계 및 적용으로 ‘깊이 있는 학습’에 의한 학습자의 역량형성을 모색하고 있었다. 또한 개별교실수업과 협력교실수업에 맞춰 탐구요소를 질문과 탐구, 구성과 설명, 이해와 행동, 정리와 성찰로 설정하고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의 시너지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시너지 전략으로 개별교실수업과 협력교실수업에 대한 수업을 디자인하고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에 대한 단원 설계 측면의 고려사항을 정리하였다. 결론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은 개별교실수업과 협력교실수업의 특성과 학습 환경을 반영하여 단원 설계를 주제확인, 주제탐색, 과제실행, 과제평가로 전개할 때 ‘깊이 있는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 competency formation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 classes through uni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Methods To this end, an advisory group and a working group were organized and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were implemented over a period of six months. In particular, the framework of action research was established in the stages of ‘understanding-exploration-coaching-implementation-reflection’ to clarify, structure, concrete, and elaborate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In addition, through a purposeful sampling method,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classroom classes and collaborative classroom classes in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class uni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aim for ‘deep learning’ that connects knowledge an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inquiry learning to form core concepts and transfer them to various situations and contexts. In particular, the unit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individual classroom teaching model (understanding the problem, establishing a solution plan, implementing the solution plan, reviewing the solution process) and the collaborative classroom teaching model (discovering the central problem, generating ideas, interactive interaction, and real-life application) We were seeking to build learners' capabilities through ‘deep learning’. In addi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lassroom classes and collaborative classroom classes, the inquiry elements were set as questions and exploration, composition and explanation, understanding and action, and organization and reflection, and a synergy strategy for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was presented. Using this synergy strategy, we designed classes for individual classroom classes and collaborative classroom classes and reflected expert opinions to organize considerations in terms of unit design for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Conclusions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environment of individual classroom classes and collaborative classroom classes, and it was found that “in-depth learning” is effective when unit design is developed into subject identification, subject exploration, task execution, and task evalu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민수(Minsoo Jung). (2024).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의 단원 설계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5), 239-263

MLA

정민수(Minsoo Jung).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의 단원 설계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2024): 239-2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