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기 읽기 단계의 문단글 읽기이해 관련 요인

이용수  204

영문명
Related variables to passage reading comprehension in early stage of reading developmen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윤효진(Hyojin Yo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463~47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15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기 읽기 단계인 초등 1학년 말 아동의 문단글 읽기이해와 관련된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읽기이해와 단어해독, 읽기유창성, 어휘와 구문간의 관계와 이러한 요인이 읽기를 예측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초등 1학년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아동은 비언어성 지능이 80점 이상인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모든 아동에게 문단글 읽기이해, 단어해독, 문단글 읽기유창성, 표현어휘, 의미관계 어휘, 구문이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읽기이해와 단어해독, 읽기유창성, 어휘 및 구문지식 능력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읽기이해는 구문이해와 단어해독 정확도를 제외한 표현어휘, 의미관계 어휘, 문단글 읽기유창성 모두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요인의 설명력은 의미관계 어휘, 구문이해, 표현어휘, 읽기유창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단어해독 정확도는 읽기이해를 독립적으로 설명하는 변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초기 읽기 단계인 초등 1학년 말 아동의 문단글 읽기이해에서 언어 능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독 능력이 아닌 정확하고 자동화된 읽기인 읽기유창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독 정확도를 일찍, 그리고 빠른 속도로 습득하는 한글에서는 초등 1학년부터 언어지식과 읽기유창성이 중요해지기 때문에 이에 중점을 둔 평가와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ed variables that predict reading comprehension at the end of the first grade. Specifically, it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word decoding, reading fluency, vocabulary and syntactic knowledge, as well as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se variables to reading comprehension. Methods Sixty-four first-grade children were participated at the end of the school year. All children had nonverbal intelligence scores of 80 or above. Test were conducted on passage reading comprehension, word decoding, passage reading fluency, expressive vocabulary, semantic relation, and sentence comprehension.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were us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reading comprehen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xpressive vocabulary, semantic relation, and reading fluency. I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mantic relation, sentence comprehension, expressive vocabulary and reading fluency (but not word decoding) significantly predicted reading comprehension. Conclusions The finding suggests that language abilities including vocabulary and syntactic knowledge play an crucial role of reading comprehension even in early stage of reading development. Furthermore, passage reading fluency, which involves accurate and automatic word recognition rather than just word decoding accuracy, is a critical factor in reading comprehension. In Hanguel, where word decoding accuracy is acquired early and rapidly, linguistic knowledge and reading fluency are considered important variables for assessment and intervention, even in early grad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효진(Hyojin Yoon). (2024).초기 읽기 단계의 문단글 읽기이해 관련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5), 463-474

MLA

윤효진(Hyojin Yoon). "초기 읽기 단계의 문단글 읽기이해 관련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2024): 463-4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