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국~통일신라시대 다각형 건물의 축조시기와 특징
이용수 126
- 영문명
- Construction Period and Characteristics of Polygonal Buildings during the Three Kingdoms to the Unified Silla Dynasty Periods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차순철(Soon-chul Cha)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46집, 513~54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삼국시대 등장한 다각형 건물은 불교 사찰과 관련된 종교건물, 즉 목탑과 관련된 것으로 보는 시각이 중심을 이루었다. 하지만 중국 집안현 환도산성 내 추정궁궐지와 경주 남산 서쪽에 위치한 나정이 조사되면서 다각형 건물의 성격을 국가제사와 관련된 시설로 보게 되었다. 또한 경주지역을 비롯한 경기도 한강유역 일대에 소재한 산성 안에서 다각형 건물지가 조사되면서 그 성격에 대한 논의 역시 이루어졌다. 국내에서 조사된 다각형 건물을 살펴본 결과 삼국시대의 고구려와 신라는 팔각형 건물을, 백제는 십이각형 건물을 채택한 모습이 확인된다. 그리고 신라지역에서는 횡혈식석실분이 조성된 고분군 주변에 만들어진 팔각형 건물과 장방형석축을 고분 제사와 관련된 의례시설로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다각형 건물지는 삼국시대 건립된 것 외에는 대부분 통일신라시대 하대인 9세기경에 건립된것으로 추정되며, 하남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토기로 볼 때 이러한 연대를 방증할수 있다. 그리고 고분군과 인접한 장방형 석축과 함께 공존한 모습이 확인되므로의례와 관련된 건물임은 분명하다. 결국 다각형 건물은 삼국~통일신라시대에 이루어진 국가제사와 지방제사 그리고 고분 제사와 관련된 의례시설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olygonal building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re deemed related to religious buildings associated with temples, namely wooden pagodas. With the investigation of a presumed palace site inside Hwandosanseong Fortress in Ji’an Prefecture of China and Najeong, the well, in the west of Namsan Mountain in Gyeongju, the polygonal buildings are seen as facilities related to national rituals. In addition, there were discussions about their characteristics with the investigation of polygonal building sites in fortresses located in the Hanggang River basin in the Gyeonggi-do region. The examination of polygonal buildings investigated in Korea showed that Goguryeo and Silla chose octagonal buildings and Baekje, dodecagonal building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Silla region, in particular, octagonal buildings constructed around ancient tombs with stone chamber tombs with a tunnel entrance and rectangular stonework are deemed ceremonial facilities related to tomb rituals. In this light, most polygonal building sites are presumed to have been constructed around the 9th century, the later years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other than those constructe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dates could be presumed with the earthenware excavated in Hanam Iseongsanseong Fortress. It is a building related to rituals as it coexists with the rectangular stonework adjacent to the tombs. In conclusion, polygonal buildings are deemed ceremonial facilities related to national, local, and tomb rituals during the Three Kingdoms to the Unified Silla Dynasty Periods.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사
Ⅲ. 다각형 건물지 사례 검토
Ⅳ. 다각형 건물지의 성격과 특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日本書紀』에 보이는 百濟의 정변에 대한 고찰
- 신채호의 후고구려·궁예 인식
- 고구려사에 보이는 ‘政變’과 역사적 의미
- 동부여의 국가 성격과 문화 기반
- 위만의 정변과 위만조선 성립
- 『삼국사기』열전 弓裔傳의 東略路 고찰
- 고구려 초기 왕위계승의 원칙과 차대왕의 政變
- 삼한-후한의 교류와 염사국의 역할
- [서평] 시대가 만들어낸 인물,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낸 영웅 - 이종욱 저, 『김유신』(지식산업사, 2022)
- 발해 역사 속의 變革의 순간들
- 백제 무령왕의 고구려 공격과 북방 경계
- 신라 하대의 쿠데타와 대외교섭
- 삼국~통일신라시대 다각형 건물의 축조시기와 특징
- 재당 고구려 유이민 출신 환관 연구
- 공주 舟尾寺址 명문 석편을 통해 본 9세기 신라 지방 사회와 불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