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구려사에 보이는 ‘政變’과 역사적 의미
이용수 69
- 영문명
- Political coupd'etats in Koguryo History and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김진한(Jin-ha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46집, 49~8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고구려사에서 일어났던 정변의 양상을 살펴보고 각 정변이 갖는의미는 무엇인지 검토해 보았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300년 이전까지를 전기, 6세기 이후를 후기로 구분했다. 중기에는 정변 기사가 명확치 않아 제외했다. 정변의 발생 횟수는 전기에 비해 후기가 적다. 이는 국내전승 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자료적 한계에 따른 것이다. 또한 전기에 비해 왕권이 안정되고 왕위계승원칙이 확고해진 것도 염두에 둘 수 있다. 아울러『隋書』와『舊唐書』에는 반역에 대해 엄격한 처벌을 가하였기에 법을 어기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했다. 이에 따라 모반 자체가 적었을 가능성도 예상된다. 정변의 명분으로는 초기에 天孫이라는 血緣과 武力이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민중왕대부터 ‘幼少’, ‘老衰’, ‘暴政’ 등을 내세우기 시작했다. 처음 신화에 가탁하거나 자격을 논했지만 점차 현실문제로 이어졌음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전기의 정변주도세력이 혈연적 성격이 강했다면, 후기에는 지연적 성격을 가진다. 이는 정치세력의 지형이 바뀌었음을 보여준다. 중앙집권적 고대국가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볼 때, 그에 따른 과제를 실천해 나간 태조왕·신대왕·고국천왕·창조리 정변 등은 긍정적인 면이 있다. 하지만 권력 쟁취에 몰입한 민중왕·차대왕·안원왕·추군과 세군·연개소문·연씨형제 정변 등은 혼란을 야기하였을 뿐 아니라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looked at the aspects of the political coup d'etats that occured in Koguryo history and examined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period before A.D. 300 has been termed the early period and the period after the 6th century has been termed the later period. The period in between has been excluded because records of coup d'etats are unclear. The number of political coup d'etats which occurred are more numerous in the early period compared to the later period. This is due to insufficient records during the later period. This can also be due to royal authority becoming relatively stabilized and the principles of succession to the throne becoming firmly establish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Suseo(隋書)』 and『Gudangseo(舊唐書)』, strict punishment for treason was imposed and the law was rarely violated. In the early period, political coup d'etats were justified by blood ties and force. In later periods, they were due to real problems such as the ruler being 'too young', 'senile', and 'tyrannous'. During the early period, the leaders of political coup d'etats had a strong blood-related character, whereas the leaders of coup d'etats of the later period had a strong territorial character. In the process of Koguryo's development into a centralized ancient state, King Taejo, King Shindae, and the Changjori coup d'etat, which dealt with the problems of the period, had a positive influence. However, political coup d'etats motivated by power struggles not only caused confusion but also had a negative influence. Examples include the coups of King Minjung, King Chadae, King Anwon, Chugun and Segun, Yeongaesomun, and the coup of the Yeon clan brothers
목차
Ⅰ. 머리말
Ⅱ. 고구려 前期의 정변
Ⅲ. 고구려 後期의 정변
Ⅳ.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日本書紀』에 보이는 百濟의 정변에 대한 고찰
- 신채호의 후고구려·궁예 인식
- 고구려사에 보이는 ‘政變’과 역사적 의미
- 동부여의 국가 성격과 문화 기반
- 위만의 정변과 위만조선 성립
- 『삼국사기』열전 弓裔傳의 東略路 고찰
- 고구려 초기 왕위계승의 원칙과 차대왕의 政變
- 삼한-후한의 교류와 염사국의 역할
- [서평] 시대가 만들어낸 인물,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낸 영웅 - 이종욱 저, 『김유신』(지식산업사, 2022)
- 발해 역사 속의 變革의 순간들
- 백제 무령왕의 고구려 공격과 북방 경계
- 신라 하대의 쿠데타와 대외교섭
- 삼국~통일신라시대 다각형 건물의 축조시기와 특징
- 재당 고구려 유이민 출신 환관 연구
- 공주 舟尾寺址 명문 석편을 통해 본 9세기 신라 지방 사회와 불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