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이비부머의 노후 경제활동 희망과 정책적 지원모색
이용수 4
- 영문명
- Baby Boomers' After-Retirement Work Plans and Policy Im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양정선(Jung-Sun Y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8 No.2, 59~7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노후 경제활동에 대한 계획과 의지를 살펴보고, 베이비부머의 노후 경제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 6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로짓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50.6%가 노후 경제활동을 희망하였고, 월평균 141만원의 임금을 희망하였다. 둘째, 현재 직업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퇴직 후 경제활동 희망여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성, 낮은 교육수준, IMF의 타격을 경험한 사람이 상대적으로 경제활동을 희망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어떠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경제활동을 하겠다는 의지는 남성, 관리전문직, 낮은 월평균 가계총소득, 직업이동을 경험한 집단이 상대적으로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고용연장 중심의 적극적인 경력지원 프로그램, 도시지역 거주 베이비부머의 노후 일자리 창출과 연계, 여성베이비부머 지원 프로그램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baby boomers’ plans for and willingness to work after retirement an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For this purpose, 660 baby boomers in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dichotomous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50.6%) said that they wanted to keep working after retirement. Their expected monthly -income was 1,410,000 won. Second, female gender, a lower level of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of damage due to IMF policies wer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the work plans of baby boomers who were currently at work. Gender, occupation, household income, and career movement had significant effect on willingness to work after retir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several suggestions, including creating programs to support career development, making jobs specifically for the elderly, and expanding job opportunity for female baby boomer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가족 사례관리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이혼의향이 있는 목회자부인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분석
- A Case Study of Satisfaction Levels with the Use of Child Support Services and Toy Rentals for Parents with Young Infants
- 베이비부머의 노후 경제활동 희망과 정책적 지원모색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비교
- 가족탄력성과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및 양육행동이 저소득층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가족과 비장애인가족의 가족기능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