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IT(Information Technology) 기반 가족복지 서비스의 탐색적 사례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n Exploratory Case Study of IT(Information Technology)-based Social Welfare Services for Families
발행기관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저자명
이선형(Sun-Hyung Lee) 안준희(Joon-Hee Ahn)
간행물 정보
『한국가족복지학』Vol.17 No.2, 73~10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회가 정보화사회로 빠르게 이행되면서 정보기기가 우리의 일상성을 규정하고 지배하는 생활기술로 자리매김 되어가고 이러한 변화가 가족의 의사소통이나 가족관계 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 가족이 사회변화로 인한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겪으면서 가족기능 수행에 어려움을 표출하고 있다고 보고, 이러한 기능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족의 기능 수행을 지원하는 IT의 역할을 사례조사와 FGI를 통해 탐색해보았다. 가족의 고유기능인 돌봄 및 보호의 기능, 자녀양육 및 사회화 기능과 파생기능인 정서적 기능, 여가적 기능을 지원해줄 수 있는 IT를 중심으로 사례조사를 하였고, 이에 대한 FGI를 병행하였다. 주된 결과로, 노부모 돌봄기능 보완을 위한 IT 활용의 경우 노인의 건강 욕구와 가족의 돌봄 욕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되는 것은 사실이나 인력이나 장비, 정책 등의 문제점은 보완되어야 하며, 둘째, 정서적 기능 보완을 위한 IT 활용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가족이나 맞벌이 등으로 함께 보내는 시간이 적은 경우 활용 가능성이 있으나, 기기 자체의 보급이나 실감도를 높이는 기술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기능 보완을 위한 IT 활용의 경우 가족용 게임의 개발이 세대간 공동의 관심사를 찾기 어려운 가족들에게 좋은 시도가 될 것이나,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과 이의 보급 및 일반화에 대한 과제가 남아있다. 넷째, 취약계층인 다문화가족의 교육기능 보완을 위한 IT 활용의 경우 이들의 욕구가 높으나 인프라 보급이나 교육 대상자의 저연령을 고려할 때, 그 부모, 특히 엄마를 대상으로 한 교육을 강화할 것이 제안되었다. 아직까지 가족기능 보완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된 IT가 아니라, 개발되어있는 IT를 가족기능 보완에 접목하는 형태이므로, 앞으로 가족의 욕구를 고려한 IT의 개발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As family structure is gradually becoming more diversified in most developed countries these days, the functions of the family are also chan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T(Information Technology) to support four major functions of the family: care and nurture, emotional support, leisure, and education. The study employed case studi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IT to support family functions in Korea while also relying on a FGI (Focus Group Interview) of experts in different fields. There were four main results. First, U-care service can help improve the caring functions of a family with elderly members, resulting in a reduction of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dens of family care-givers. Second, Smart phone and Smart TV can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living separately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s. Third, the U-table game can be utilized as a family leisure activity. Particularly, its table-top system is an effective tool to increase cooperation between family members and to provide motivation to engage in certain tasks. Fourth, the e-learning system can serve as an assistive device to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se results have crucial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IT-based family support services in Korea, which may lead to a reduction of policy cost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1) : 사례 조사
Ⅴ. 연구결과(2) : FGI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형(Sun-Hyung Lee),안준희(Joon-Hee Ahn). (2012).IT(Information Technology) 기반 가족복지 서비스의 탐색적 사례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7 (2), 73-103

MLA

이선형(Sun-Hyung Lee),안준희(Joon-Hee Ahn). "IT(Information Technology) 기반 가족복지 서비스의 탐색적 사례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7.2(2012): 73-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