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 민족 정체감, 차별경험,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간의 관계
이용수 23
- 영문명
- Personal Characteristics, Ethnic Identity,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 of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최운선(Woon-Sun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7 No.2, 49~7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제행동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경로모형 검증을 통해 밝혀냄으로써,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한·일 다문화가정 청소년 총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제행동 수준은 대체로 높지 않은 편이며, 문제행동 하위영역 가운데 우울/불안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에, 공격성 영역은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문제행동 수준은 한국어 실력 및 자아존중감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반면에 차별경험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경로모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외모차이는 민족 정체감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문제행동에 정적인 간접효과를 보였으며, 한국어 실력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부적인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차별경험은 민족 정체감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문제행동에 정적인 간접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정적인 직접효과도 나타냈다. 위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함의 및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vel of problem behavior exhibited by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blem behavior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rough a path model. The data gleaned from replies of 309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subjected to a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vel of problem behavior was normal, the score of depression/anxiety was highest, while the score of the aggression subscale was lowest. The level of problem behavior was negatively related to Korean ability and self-esteem,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 amoun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path model,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a difference in appearance on problem behavior occurred indirectly through ethnic identity and self-esteem. Whereas the negative influence of Korean ability on problem behavior occurred indirectly through ethnic identity. Discrimination experie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problem behavior level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rough ethnic identity and self-esteem, it also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direc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ed for follow up studies are also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vel of problem behavior exhibited by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blem behavior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rough a path model. The data gleaned from replies of 309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subjected to a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vel of problem behavior was normal, the score of depression/anxiety was highest, while the score of the aggression subscale was lowest. The level of problem behavior was negatively related to Korean ability and self-esteem,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 amoun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path model,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a difference in appearance on problem behavior occurred indirectly through ethnic identity and self-esteem. Whereas the negative influence of Korean ability on problem behavior occurred indirectly through ethnic identity. Discrimination experie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problem behavior level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rough ethnic identity and self-esteem, it also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direc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ed for follow up studies a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