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동 아버지의 장애에 대한 태도, 가족신념, 양육참여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8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s toward Disabilities, Family Beliefs and Fathers' Involvement with Disabl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정순둘(Soon-Dool Chung) 김고은(Go-E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5 No.2, 85~10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버지의 장애에 대한 태도, 가족신념과 양육참여의 관계를 분석하여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의 발달장애아동 아버지로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에는 가족에 대한 신념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에 대한 태도와 가족신념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매개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가 자녀의 장애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하게 되면 가족신념이 높아지고, 이러한 아버지의 경우 양육참여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장애태도개선 프로그램이나 가족신념 강화를 위한 가족결속력 프로그램 등의 아버지 특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장애아동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태도의 증진을 바탕으로 장애자녀의 양육에 대한 가족의 도전이 긍정적인 경험으로 연결되어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fathers' attitudes toward disability and family beliefs on participation for fathers with disabled children, providing grounds to promote the belief that more fathers ought to engage in child rear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confined to fathers with disabled children who live in Seoul and the Gyeong-gi metropolitan area. The study shows that family beliefs have the most influence on fathers' participation in raising their children. The fathers' attitudes toward disability and family beliefs are proven to be the major variables to determine the level of fathers' child care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fathers' attitudes toward the disabilities of their childre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family beliefs, helping fathers to actively engage in nurturing.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a variety of programs for fathers with disabled children are needed; for example, programs for disability awareness enhancement or family cohesion, in order to increase fathers' involvement in raising their handicapped children, are necessary. These programs would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parenting attitude of fathers by turning this challenge, child nurturing, into more of a positive, learning experience, thus inducing fathers' active engagement in raising their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조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지체 영유아의 가족참여 모델이 영유아의 구문론 발달에 미친 영향
- 청소년의 일탈 비행 및 비동조적 행위 형성에 부모빈곤, 부모-자녀 놀이활동 및 자기인식이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아버지의 장애에 대한 태도, 가족신념, 양육참여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결혼이민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경로연구
- 조손가정의 형성원인과 양육경험에 따른 조모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가족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 관련 요인
- The Impact of Acculturative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Marriage - Based Immigrant Women In Korea: An Examination of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