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결혼이민자 여성의 적응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Study on the Adapt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to Family Stress: Application of the Resiliency Model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은희(Eun-He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4 No.1, 73~9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탄력모델을 이용하여 결혼이민자 여성들이 결혼 후 가족과의 생활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과정에서 환경사회적 보호요인, 환경사회적 위험요인, 그리고 탄력성은 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적응향상을 위한 개입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증적인 지식을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들은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그리고 경상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 여성들 이다. 조사기간은 2008년 3월 2일부터 5월 12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회수된 총 218부의 설문지 중에서 무응답이 지나치게 많은 17부를 제외한 201부를 채택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운데 특징적인 것은 부부간의 높은 연령 차이와 그리고 남편과의 결혼 동기 가운데 경제적인 이유가 가장 높은 것을 들 수 있겠다.
둘째, 상관관계분석에서 생활스트레스, 환경사회적 보호요인, 환경사회적 위험요인, 탄력성 그리고 적응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는 생활스트레스와 환경사회적 보호요인, 환경사회적 위험요인은 모두 탄력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들 가운데 보호요인과 탄력성은 적응에 매우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환경사회적 보호요인과 탄력성요인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높은 생활스트레스 하에서도 보다 나은 적응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결혼이민자 여성들의 환경사회적 보호요인과 탄력성요인 강화를 위한 개입전략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envirosocial protective factors, envirosocial risk factors, resilience and adaptation. The subjects were 186 married immigrant wom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stress, envirosocial protective factors, and envirosocial risk factors significantly correlate with adaptation. Second, as seen in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amily stress, envirosocial protective factors and envirosocial risk factors significantly predicted resiliency, and envirosocial protective factors and resilient factors predicted adaptation. According to these findings,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focus on increasing envirosocial protective factors and resilient factors a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조사방법
Ⅳ. 조사결과의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사회복지사의 소명의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