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용수  19

영문명
A Study on the Role Conflict and the Quality of Life of Dual-Earner Parents
발행기관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저자명
황혜원(Hye-Won Hwang) 신정이(Jung-Yi Shin)
간행물 정보
『한국가족복지학』Vol.14 No.1, 45~7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3.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을 분석하고, 나아가 이러한 역할갈등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며, 역할갈등 상황에 있는 맞벌이 부부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충북 청주의 맞벌이 부부 250쌍(5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정도는 아내가 남편보다 높기는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지 않아 남편과 아내가 비슷한 역할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갈등 영역별로 보면, 남편은 ‘직장역할갈등’이 아내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던 반면, 아내는 ‘가정역할갈등’과 ‘부모역할갈등’이 남편보다 높아 차이를 보였다. 둘째, 맞벌이부부 전체를 보았을 때 ‘직장역할갈등’과 ‘부모역할갈등’이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성별로 보면 맞벌이남편의 경우 ‘부모역할갈등’이 삶의 질에 영향을 주었고, 맞벌이아내의 경우는 ‘직장역할갈등’과 ‘부모역할갈등’ 두 가지가 삶의 질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역할갈등, 우울, 배우자지지, 직업만족, 사회적지지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결과는 성별에서도 차이가 거의 없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하여 맞벌이부부의 특성이해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개입전략이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conflict of dual-earner parents and its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as well as identifies several ecosystemic variables which influence dual-earner parents' quality of lif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50 dual-earner couples in Cheongju.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wife’s level of role conflict and a husband’s, although the wife’s level was higher than her husband’s. However, a husband’s work related role confli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is wife, while a wife’s family related role conflict and parenting conflict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her husband. The work related role conflict and parenting conflic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of dual-earner couples. Specifically, parenting confli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usband’s quality of life, while the work related role conflict and the parenting conflict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wife’s quality of life. Several ecosystemic variables such as role conflict, depression, spous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quality of life of dual-earner par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혜원(Hye-Won Hwang),신정이(Jung-Yi Shin). (2009).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 (1), 45-71

MLA

황혜원(Hye-Won Hwang),신정이(Jung-Yi Shin). "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역할갈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1(2009): 45-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