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상관광체험이 관광기억 및 현지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7
- 영문명
- Effect of Virtual Tourism Experience on Tourism Memory and Local Visit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 발행기관
- 한국해양관광학회
- 저자명
- 김양기(Yang-Gi Kim) 문상정(Sang-Jeong Moon)
- 간행물 정보
- 『해양관광연구』제17권 제2호, 199~21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Digitalization is progressing in various fields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s a means of revitalizing the tourism industry, which is facing a crisis after COVID-19, the digitalization of tourism products as well as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and Metaverse are attracting attention. In particular, virtual reality technology has advanced further into virtual human docents and is being used in all fields, including tourism, exhibitions, management and marketing. And in the field of tourism, these technologies are actively used as a means to increase tourists' satisfaction and stimulate interest in tourist destin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tourism experience, tourism memory, and local visit intention as perceived by domestic tourists in relation to these social and tourism phenomena,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attributes among variabl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nline) method. A total of 4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August 2023 to January 2024), and data from tourists who experienced VR, AR, and augmented reality placed at tourist attractions were used for analysis (141 copies). As a result, the virtual tourism experience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ourists' tourism memories, and tourism memorie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local visit intention. And above all, among the attributes of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veness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tourism experience and tourist memor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various implications for maximizing the usability of virtual tourism.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연구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과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테마파크 방문객이 지각하는 관광제약과 재방문의도의 관계에서 여가관여도의 조절효과
- 지역축제에 있어 단체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지방정부 신뢰와 지역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가상관광체험이 관광기억 및 현지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문화관광해설을 경험한 관광객의 만족도 인식에 관한 연구
- 해양관광 정책과 학술연구 간의 연관성 분석
- 항공사의 지각된 브랜드 글로벌성과 지역성이 브랜드 가치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해양쓰레기 관련 환경인식이 관광객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해양 관광지 매력성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MTE)이 지역주민-관광객 상호작용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베이커리 카페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지각된 가치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해안 난대림의 진정성, 가치, 만족도, 그리고 행동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블루투어리즘 개발 인식이 공동체 의식과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관광콘텐츠로 관광산업의 지속 성장 방안 고찰
- 신(新) 인구개념을 활용한 국토 외곽지역 활성화 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