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AF기반 토익스피킹 대안모델 구현을 위한 기초연구
이용수 33
- 영문명
- Exploratory research on developing an alternative TOEIC speaking model based on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신순란(Sunran Shin) 전지현(Jihyun Jeon)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36권 2호, 91~11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OEIC SPEAKING and English speaking ability based on language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AF between upper and lower English speaking groups. In total 29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arried out the speaking test. The results of Pearson analysis revealed a high correlation (.796) between the TOEIC speaking scores and CAF. Specifically, ‘Complexity’ and ‘Fluency’ showed a high correlation and ‘Accuracy’ showed a moderate correlation with TOEIC speaking scores. There were als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in correlation with CAF. ‘Complexity’ was the highest correlation in upper group whereas ‘Accuracy’ was the highest correlation in the lower group. To assess causal relationship of CAF on TOEIC speaking score, the study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OIEC speaking score and CAF. The results showed the English speaking ability based on CAF had 63.1% effect size on TOEIC speaking score. This suggests TOEIC speaking test can be replaced by CAF. Individual CAF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Fluency’ had the strongest causal relationship (62.5%) followed by ‘Complexity’ (54.6%), and the ‘Accuracy’ had the least (10.4%).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upper and lower speaking ability groups: upper group had 34.3% whereas lower group had 16%, which means higher English speaking group can get the higher TOEIC speaking scor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 역량에 대한 중·고등학교 영어교사 내러티브
- Negotiating identities and investments: High-achieving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English language journeys
- Variables affecting the use of grammar learning strategies by EFL university students
- CAF기반 토익스피킹 대안모델 구현을 위한 기초연구
- 초등영어교육에서의 상호작용 및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신장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 띵커벨 활용 실행연구
- 유치원 영어수업에서 유아의 발화에 대한 원어민과 이중언어 교사의 피드백 유형 및 반응에 대한 연구
- 한국대학생의 생성AI 쓰기 보조 도구 사용에 나타난 환언양상과 환언과정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