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BS AI 펭톡 기반 어휘학습에 대한 초등영어학습자들의 반응 조사

이용수  408

영문명
A Study on Elementary English Language Learners’ Reactions to AI PengTalk-based Vocabulary Learning
발행기관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최석현(Seokhyeon Choi) 윤택남(Tecnam Yoon)
간행물 정보
『현장수업연구』제5권 제2호, 47~6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등 공교육 현장에 AI 펭톡이 보급된 이후, 영어 교수-학습에 있어 펭톡의 효과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 어휘 학습과 관련된 연구사례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펭톡 기반 어휘 학습이 초등영어학습자들의 어휘력 변화와 영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초등영어학습자 22명을 대상으로 총 14주에 걸친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력 관련 인지적 영역 변화에 있어 교과서 위주의 수업과 펭톡을 활용한 수업 모두 학습 전·후 학생들의 어휘력은 향상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교과서 위주의 수업과 펭톡을 활용한 수업 간 향상도 차이는 크지 않았다. 또한 학생들의 사전·사후 어휘력 검사의 변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긍정적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습자의 소감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펭톡을 활용하였을 때 흥미와 어휘 학습의 유용성 측면에서 81%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학생들은 학습 단계를 통과하며 학습 흥미를 느낄 수 있었고, 펭톡의 포인트 개념인 참치캔을 모으고, 캐릭터를 꾸미는 과정에서 영어 학습에 대한 외재적 동기 또한 얻을 수 있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펭톡과 같은 인공지능 기반의 도구를 활용한 어휘 학습의 교육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fter AI PengTalk was spread in the public education field,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ectiveness of PengTalk in English teaching-learning. However, since previous research cases related to vocabulary learning were insufficien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engTalk-based vocabulary instruction on the change of vocabulary proficiency levels of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e results verified through 14 weeks of experimental clas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ognitive domain change, both textbook-oriented classes and classes using PengTalk improved students’ vocabulary before and after learning,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rovement between textbook-oriented classes and classes using PengTalk.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egree of change in students’ pre and post-vocabulary tests, positive improvement was confirmed, but thi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econd, according to the learner’s impression, 81% of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in terms of interest and the usefulness of vocabulary learning when using PengTalk. Students could feel the intrinsic motivation they felt as they passed through the learning stage, and it could be assumed that they responded positively because they could also get external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una cans, the concept of PengTalk, and decorating charact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석현(Seokhyeon Choi),윤택남(Tecnam Yoon). (2024).EBS AI 펭톡 기반 어휘학습에 대한 초등영어학습자들의 반응 조사. 현장수업연구, 5 (2), 47-64

MLA

최석현(Seokhyeon Choi),윤택남(Tecnam Yoon). "EBS AI 펭톡 기반 어휘학습에 대한 초등영어학습자들의 반응 조사." 현장수업연구, 5.2(2024): 47-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