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수학습에 관한 전통주의와 구성주의 접근으로 살펴본 예비 화학교사의 신념 탐색
이용수 308
- 영문명
- Exploring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beliefs related to traditionalist and constructivist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 발행기관
-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현정(Hyunjung Kim) 김성기(Sungki Kim)
- 간행물 정보
- 『현장수업연구』제5권 제2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예비 화학교사들의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을 전통주의와 구성주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또한, 이를 교육실습을 경험한 3, 4학년과 교육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1, 2학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 신념 도구로 Woolley, Benjamin, & Woolley(2004)가 개발한 문항을 활용하였으며, 75명의 예비 화학교사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전통주의 교육관과 관련된 6개 문항과 구성주의 교육관과 관련된 5개 문항을 대상으로 신념을 분석하였다. 두 교육관의 신념 차이는 대응표본 t-검정으로, 집단 및 문항별 신념 차이는 ANOVA로 비교하였다. 전반적인 교육관 비교에서 교육실습 경험 집단은 통계적으로 구성주의 교육관에 대한 신념이 높았으나, 교육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세부 문항 분석에서 지필평가 실천과 정형화된 토론 수업 운영에서 전통주의 교육관에 대한 신념이 통계적으로 높았으며, 구성주의 교육관 세부 문항 분석에서 비공식적 학생 평가에서 구성주의 교육관에 대한 신념이 통계적으로 낮았다. 집단별 분석에서 교육실습을 경험한 3, 4학년 집단이 교육실습을 경험하지 않는 1, 2학년 집단에 비해 구성주의 교육관에 대한 신념이 통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왔다. 예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관에 대한 신념을 높이는 방안으로 교육실습 경험의 가치를 엿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beliefs related to constructivist and traditional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In addition, this was examined focusing on 3rd and 4th graders who experienced teaching practicum and 1st and 2nd graders who did not experience teaching practicum. To this end, items developed by Woolley, Benjamin, & Woolley (2004) for the assess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beliefs were utilized, with 75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surve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dentified six items related to traditional educational views and five items related to constructivist views for belief analysis. Differences between these educational views were compar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and differences in beliefs across groups and items were compared using ANOVA. Overall, the group with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 showed statistically higher beliefs in constructivist educational views, whereas the group without experience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A detailed items analysis revealed higher beliefs in traditional education views in practices of written assessments and structured discussion classes. In the constructivist view, beliefs were statistically lower in informal student evaluations. Group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beliefs in constructivist educational views among those with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 compared to those without. This suggests the value of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 in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beliefs in constructivist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