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카자흐스탄의 재생에너지 정책과 발전 잠재력
이용수 29
- 영문명
- Kazakhstan’s renewable energy policy and development potential: Focus on Solar Energy
- 발행기관
- 한국세계지역학회
- 저자명
- 윤영민(Youngmin Yoon)
- 간행물 정보
- 『세계지역연구논총』제42집 제2호, 65~9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재생에너지원의 발전과 이용 확대는 기후변화 대응과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인류 공동의 과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더해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공급망의 불안정성 증가는 에너지 안보의 측면에서 재생에너지 발전의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구소련 국가 중 대표적인 에너지 수출국인 카자흐스탄도 이미 오래전부터 재생에너지 발전을 국가 정책으로 추진해 왔지만 큰 성과를 보이지는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카자흐스탄의 재생에너지 발전 잠재력을 태양에너지를 중심으로 부존자원, 제도, 기술 3개의 측면에서 가늠해 봄으로써 카자흐스탄이 재생에너지 부문에서 가진 강점과 한계, 그리고 발전 기회요인을 살펴보았다. 카자흐스탄은 상대적으로 풍부한 태양에너지 자원이 부존되어 있으나 태양에너지 부문 발전을 위한 기술적/산업적 수준이 크게 뒤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관련 제도적 수준은 세계 평균보다높게 나타나고 일부 영역은 OECD 평균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카자흐스탄의 태양에너지발전 확대를 위해 국가 간 협력과 투자 유치가 필요하며 이는 카자흐스탄에게 기회요인이될 것이다.
영문 초록
Expanding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in terms of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addition, the increasing instability of the energy supply chain due to the Ukraine wa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newable energy in terms of energy security. Kazakhstan, a leading energy exporter among the FSU countries, has been promoting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as a national policy for a long time, but has not shown significant results. In this study, Kazakhstan's strengths and limitations in the renewable energy sector, as well as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were examined by evaluating Kazakhstan's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potential in three aspects - natural resources, institutions, and technology - with a focus on solar energy. Kazakhstan has relatively abundant solar energy resources, but the technological/industrial level for the development of the solar energy sector appears to be lagging significantly. However, the institutional level related to renewable energy appears to be higher than the world average, and some areas are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In order to expand solar energy development in Kazakhstan, cooperation between countries and attraction of investment are needed, which will be an opportunity for Kazakhstan.
목차
Ⅰ. 서 론
Ⅱ. 카자흐스탄의 재생에너지 정책과 과제
Ⅲ. 카자흐스탄의 태양에너지 부존량 평가
Ⅳ. 카자흐스탄의 태양에너지 발전 부문의 기술적/산업적 수준
Ⅴ. 카자흐스탄의 재생에너지 부문의 제도적 발전 수준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