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 영어교육에서 내러티브 중심 교과 개발·편성의 난점과 딜레마
이용수 345
- 영문명
- Difficulties and Dilemmas in Organizing Narrative-centered Curriculum in High School English Education: the Case of Textbook “Reading British and American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박정만(Jungman Park)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54호, 97~11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t the time of the 2022 High School English Curriculum Revision (November 24, 2021) and the change to an approved textbook system for the high school English subject “Reading British and American Literature”, this presentation addresses the difficulties and dilemmas of developing and organizing narrative-centered textbooks in Korean high school English education. To this end, this presentation will 1) review the outline of the 2022 High School English Curriculum Revision, 2) raise the topic of narrative by analyzing the nature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Reading British and American Literature” subject, 3) diagnose the difficulties and dilemmas of developing and organizing “Reading British and American Literature” as a narrative education textbook. As a conclusion, this presentation proposes a realistic opinion on the mentioned difficulties and dilemmas.
목차
I. 서론
II. 2022 개정 고등 영어 교육과정 방향과 설계 및 해제
III. <영미문학읽기>: 성격 및 성취기준
IV. <영미 문학 읽기>와 내러티브 교육: 교과 개발·편성의 난점과 딜레마
V. 결론 및 제언: 최적과 절충 사이에서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은유와 21세기 영어교육에 있어서의 함의
- Exploring Learners’ Perceptions on Efficac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nhancing EFL Conversation Classes
- 영어교육연구 제54호 목차
- Balancing Feedback for Optimal Learning: Evaluative and Descriptive Methods in English Language Classrooms
-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 단어 비교대조를 통한 창의적 영어어휘력 향상에 관한 연구
- 고교 영어교육에서 내러티브 중심 교과 개발·편성의 난점과 딜레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