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lose Textual Analysis and the Design of Learning Spaces
이용수 51
- 영문명
- Close Textual Analysis and the Design of Learning Spaces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Chungyeol Park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제30권 제2호, 19~3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 close textual analysis of what learning is in the context of learning spaces. The aim is for critical rhetorical discourse to what scholars say or write about a topic and the deeper meaning of their words. The close textual analysis is about the influence of learning spaces to have significant experiences for the network generation born in an era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paper is to introduce a reason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process of textual analysis. The process with its complexity reveals the creative density of rhetoric as well as the reason behind the words. Our compass point toward understanding what learning truly means within the context of learning spaces. But this journey is no mere academic exercise; it is a call to engage in critical rhetorical discourse, where ink meets parchment, and ideas crystalize. This study reveals how symbolic action, form and content, context, and creative concentration function within the artifact. The claim is that proposition for close textual analysis is to prepare the listener to listen and hear the importance of rhetorical discourse is taking place, as well as understanding of words to gain meaning to rhetorical discourse and critical thinking.
목차
I. INTRODUCTION
II. CLOSE TEXTUAL ANALYSIS OF THE DESIGN OF LEARNING SPACE
III. CLOSE TEXTUAL ANALYSIS: LEARNING AND DESIGN PRINCIPLE
IV. CLOSER LOOK AT CLOSE TEXTUAL ANALYSIS
V. VIEW LEARNING SPACES THROUGH THE LENS OF CLOSE TEXTUAL ANALYSIS
VI.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를 통한 경험적 학습
- 고등학생 기초영어학력 향상을 위한 예비교사 역량강화 훈련 및 교육실습의 효과
- Close Textual Analysis and the Design of Learning Spaces
- 영어 발표 과업의 동료평가에 대한 학습자 인식
- 모바일 앱을 활용한 영어학습이 산업대학 학생들에게 미치는 학습효과
- Coh-Metrix 시스템을 통한 고등학교 영어 모의시험 독해지문의 학년 내 연계성 분석
- Comment Markers in Spoken English in Korea
- 대학 교양영어 대면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학습몰입도와 수업만족도 비교 연구
- 영어어문교육 제30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