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몽골 전통문자 교육의 현황

이용수  89

영문명
Current Situation of Mongolian Traditional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Textbooks of the General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발행기관
한국몽골학회
저자명
오윤게렐(Ch.Oyungerel)
간행물 정보
『몽골학』제77호, 171~19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 몽골 정부의 전통문자 교육정책 전반에 대해 검토하고, 이러한 교육정책이 몽골의 일반 중 ·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몽골의 전통문자 교육의 현황을 고찰하였다. 몽골인들은 13세기부터 몽골 고유의 전통문자인 ‘몽골 비칙’을 사용해 왔으며 문자문화의 위대한 유산과 역사를 지니고 있다. 2015년도에 결의한 ‘몽골어에 관한 법’에 명시한 바와 같이 몽골의 전통문자인 몽골 비칙은 ‘몽골 민족의 정신문화의 소중한 유산, 민족의 문명의 뿌리와 줄기, 나라의 통합, 민족의 안녕, 자주독립의 확증이며, 몽골어를 배우고, 가르치고 사용하고, 전승하는 것은 몽골인 모두의 고귀한 의무’이기도 한다. 몽골은 1946년부터 키릴 문자를 국가의 공식 문자로 받아들여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1990년도 민주화와 더불어 현재의 키릴 문자와 고유의 전통문자 모두를 사용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몽골 정부는 1995년부터 ‘몽골 전통문자 국립프로그램 I’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전통문자관련 많은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들에 의거하여 현재 일반 중 · 고등학교의 6학년부터 12학년에서 ‘몽골 전통문자’ 교과목이 개설되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Mongolian government's overall traditional character education policy, analyzed how this education policy was reflected in Mongolia's general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Mongolia's traditional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is. Mongolians have been using ‘Mongol bichig’, Mongolia’s own traditional script, since the 13th century and have a great heritage and history of written culture. As specified in the ‘Law on the Mongolian Language’ resolved in 2015, Mongolia's traditional script, Mongolian bichig, is ‘the precious heritage of the spiritual culture of the Mongolian people, the roots and stem of the nation's civilization, the unity of the nation, the well-being of the nation, and independence. It is a confirmation of independence, and it is also the noble duty of all Mongolians to learn, teach, use, and transmit the Mongolian language. Mongolia began using the cyrillic alphabet as the country's official alphabet in 1946, and with democratization in 1990, it is making great efforts to use both the current cyrillic alphabet and its own traditional script. The Mongolian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many policies related to traditional characters since 1995, starting with the ‘Mongolian Traditional Characters National Program I’. Based on these policies, the subject ‘Mongolian Traditional Characters’ is currently being opened and taught in grades 6 to 12 of general middle and high schools.

목차

1. 서론
2. 몽골 정부의 전통문자 정책 활동
3. 몽골 정부의 전통문자 교육정책
4. 몽골 일반 중등교육기관의 전통문자 교육내용 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윤게렐(Ch.Oyungerel). (2024).몽골 전통문자 교육의 현황. 몽골학, (), 171-195

MLA

오윤게렐(Ch.Oyungerel). "몽골 전통문자 교육의 현황." 몽골학, (2024): 171-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