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Social Tourism Resources Development Methods in the Korean Tourism Industry
- 발행기관
- 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전명숙(Myungsook Chun)
- 간행물 정보
- 『관광경영연구』제4권 제2호, 230~250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re are four kinds of tourism resources. Those resources are based on Nature, Cultural heritage, Society and Industry. Social resources are the tourist environment. Social resources have various aspects of tourist attractions. For example: People, their way of thinking, life style and religion. These find their expression in culinary specialties, architecture, fashion and cultural activities. Social tourism can develop in these fields and visitors can enjoy their stay in a particular society. This will be the source of tourism. An well-organized social tourist strategy emphasizes on safety during the visit, wel-coming, hospitality, attitude of the host country. Without improving the level of social tourism resources, Tourism Industry can not develop as it wants to go. In the Korean Tourism Industry there are many factors which can be developed through the social tourism resources. To improve and develop the Korean social tourism resources we need to educate people about the awareness of Tourism, Legal control to limit excessive competition between travel agencies, positive promotion abroad, tax reduction for tourism related businesses and permanent education for tourist employee and employment of only licensed tour guides for the quality of the tour. Korean tourism industry can growing up only when we are conscious of our own social and cultural identity and put value on it.
목차
Ⅰ. 서 론
Ⅱ. 사회적 관광자원의 이론적 고찰
Ⅲ. 사회적 관광자원을 이용한 관광상품 개발방안
Ⅳ. 한국관광산업의 사회적 관광자원개발 저해요인 과 개선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메가이벤트를 대비한 민박 가정 모집 제도 개선방안
- 호텔회계정보의 유용성 제고방안
- 관광호텔의 기업문화와 영향요인간의 관계
- 사회적 관광자원을 기초로 한 관광상품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관광개발 투자재원조달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관광호텔 식당선택에 미치는 상황적 영향 연구
- 호텔 구매현장에서의 고객반응 측정속성 개발
- 미래 가계소득 기대치와 생활유형의 함수로서의 관광행태 분석
- 여행사의 축제여행상품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 인사고과실행에 대한 호텔종사원의 인지도 분석
- 호텔 연봉제 도입에 관한 연구
- 이용실태 특성에 따른 관광호텔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 호텔종업원의 귀속의식과 성과와의 관계
- 외국인 관광객 긴급전화서비스에 관한 연구
- 축제방문객의 ‘기대-성과 불일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VR, AR, 메타버스 관광의 종단적 분석 - 다이나믹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언론 매체의 토픽 변화 연구(2016-2023)
- 학력·학벌 격차 인식과 체제 수용의 심리 - 호텔 조직원에 대한 질적연구
- 노인의 일상생활 자립도와 향후 여행 및 관광활동 참여의사의 관계 - ADL 및 IADL 기반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