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산 임당지역 고분 주‧부곽 유구 형태에 대하여
이용수 35
- 영문명
- A Study on the Shape of Main Burial Chamber and Accessory Burial Chamber in Imdang(林堂), Gyeongsan(慶山)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최봉인(Bong-in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22집, 349~37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산 임당지역 고분은 대형묘와 중‧소형묘가 있으며, 동혈묘광과 이혈묘광에는 주곽과 부곽으로 구분되는 것이 있다. 이 글은 이혈묘광의 묘 배치형태에 따라 직렬형과 병렬형으로 나누고, 이 두 가지 형의 변화를 시기별로 알아보아 이를 통해 사회상을 살펴보았다.
대형묘는 4세기 3/4분기부터 6세기 1/4분기까지 직렬형이 관찰되며, 6세기 1/4분기에 병렬형이 축조되었다. 6세기 2/4분기부터는 대형묘가 조성되지 않았다. 중‧소형묘는 5세기 2/4분기부터 6세기 1/4분기까지 직렬형이 조성되며, 5세기 4/4분기부터 6세기 3/4분기까지 병렬형이 만들어진다. 6세기 1/4분기부터 병렬형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경주의 영향에 따라 도입된 병렬형은 중‧소형묘에서 먼저 차용하였고, 대형묘에서 병렬형이 들어오는 시기에 중‧소형묘에는 병령형이 급증한다. 이는 중‧소형묘의 병렬형을 사용한 집단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대형묘가 소멸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중‧소형묘의 병렬형 도입은 임당지역에 사회적 위상 변화로 대형묘 집단을 사라지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신라의 영향 아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large-sized and the mid & small sized tombs is in Imdang tombs, Gyeongsan, it is divided two types which is an adjoining grave hole and separate grave hole. A separate grave hole have type of series connection and type of parallel connection, it discusses with time and social change by type of series connection and type of parallel connection.
The type of series connection on the large-sized tombs made on from the 3rd quarter of the 4th century to the 1st quarter of the 6th century AD, the type of parallel connection built on the 1st quarter of the 6th century AD. The type of series-parallel connection of the Large-sized grave didn't construct on the 2rd quarter of the 6th century AD.
The type of series connection on the mid & small sized made on from the 2nd quarter of the 5th century to the 1st quarter of the 6th century AD, the type of parallel connection was built from the 4th quarter of the 5th century to the 3rd quarter of the 6th century AD. The type of parallel connection became popular at the 1st quarter 6 century AD.
It induced type of parallel connection of the mid & small sized by Gyeongju(Silla). The type of parallel connection was more increased the mid & small sized than the large-sized tombs. It guesses to immigrated group with used the type of parallel connection of the mid & small sized and disappeared the large-sized grave. The type of parallel connection of the mid & small sized graves were introduced in Imdang area, it's to disappeared the large-sized grave's group by social change. It seems to influenced by the operation of social system under control of Gyeongju(Silla).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분의 분포양상
Ⅲ. 시기별 양상 검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