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高句麗 滅亡과 淵蓋蘇文의 아들들

이용수  75

영문명
The fall of Koguryo(高句麗) and Yeon Gaesomun(淵蓋蘇文)'s sons
발행기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저자명
김진한(Jin-han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고대사탐구』제22집, 117~14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연씨형제집권기인 665년부터 668년 고구려 멸망까지를 중심으로 연남생의 대당투항과 연남건‧연남산의 대당항전에 초점을 맞추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연구자들간 쟁점이 된 문제들을 재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연개소문의 사망년은 665년이며 고구려 내분의 발생시기는 666년 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당은 두 차례에 걸친 연남생의 대당청병에 대한 확인을 위해 최헌을 파견하였다. 당은 연남생의 청병에 대한 조건으로 연헌성의 대당입조와 고구려성의 투항을 요구하였다. 연남생의 대당투항 이후, 고구려의 대당항전은 연남건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연남건의 대당항전과 관련해 신성‧부여성‧사수전투가 주목을 끈다. 연남건은 신성을 빼앗김으로써 고구려 서변의 요충지를 당에 내주었다. 이에 고구려군은 대당방어전략을 마련하며 압록진을 중심으로 당군과 대치하였다. 그러자 당군은 부여성으로 진격하여 함락시킴으로써 배후의 안전을 확보한 상태에서 장기적으로 대고구려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을 확보하였다. 또한 연남건은 평양성 인근 대동강의 지류인 사수에서 당연합군과 결전을 벌였으나 패하고 말았다. 이후 연남건과 보장왕, 연남산은 대당항전 여부를 두고 분열함으로써 고구려 멸망을 더욱 재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makes clear the facts with regard to the struggle for power between Yeon Gaesomun's sons and reexamines the issue from 665 to 668, the period of the reign of the Yeon Namsaeng(淵男生) brothers. As a result, I confirmed the death date of Yeon Gaesomun as 665 and that the struggle for power between the brothers occurred in early 666. Besides Tang(唐) sent Choi Hyun(崔獻) to Yeon Namsaeng for the purpose of affirmation with regard to the request for the dispatch of troops. I found out the fact that Tang demanded attendance at the Royal Court of Yeon Namsaeng's son and the surrender of a Koguryo fortress to the Tang. Yeon Namsaeng's surrender to the Tang accelerated the fall of the Koguryo regime. After this, the war of Koguryo toward Tang progressed with Yeon Namgeon(淵男建) as the central figure. The three battles of Sinseong(新城), Buyeoseong(夫餘城) and Sasu(蛇水) are important with regard to the Koguryo-Tang war. Koguryo relinquished a strategic point of the west when Sinseong fell to the Tang. Koguryo thereupon established a new defense strategy and confronted the Tang with Abrokjin(鴨綠津) as the center. Subsequently Tang secured the safety of it's rear front by taking Buyeoseong which was an important castle of the north side of Koguryo. Koguryo's armies were defeated by the Tang union forces on the Sasu river which is a tributary to the Daedong river(大同江). Moreover Yeon Namgeon, King Bojang(寶藏王), and Yeon Namsan(淵男産) were divided by internal conflicts. Koguryo was on the road to collapse.

목차

Ⅰ. 머리말
Ⅱ. 淵男生의 執權과 對唐投降
Ⅲ. 淵男建·淵男産의 對唐抗戰과 高句麗滅亡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한(Jin-han Kim). (2016).高句麗 滅亡과 淵蓋蘇文의 아들들. 한국고대사탐구, (), 117-143

MLA

김진한(Jin-han Kim). "高句麗 滅亡과 淵蓋蘇文의 아들들." 한국고대사탐구, (2016): 117-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