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탄화물 포함 수혈에 대한 일고찰

이용수  0

영문명
An investigation of pits containing charred materials in Hoseo area during Late Bronze Age period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이희진(Heejin Lee)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61집, 38~78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수혈 내부 퇴적토(infill)는 매적과정에서 주변에서 일어난 다양한 현상을 추정하는 가장 기초적인 자료이며, 특히 퇴적토 내 탄화물은 국내외의 선사 문화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탄화물은 수혈 주변에서 발생한 여러가지 연소 이벤트에 의해 만들어지며, 문화적 지표의 성격이 강한 물질이다. 흥미롭게도 한반도 청동기시대 후기 송국리문화기에서는 수혈이 밀집되는 경향이 있고, 이들의 내부 퇴적토에 탄화물 및 소성 관련 물질이 포함된 사례가 많이 보고 되었다. 소위 탄화물 수혈이라고 칭할 수 있는 이 유구는 탄화물 및 소성 관련 물질 포함 여부, 이의 퇴적토 내 위치 등에서 서로 상이하다. 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수혈 내부 퇴적토의 형성과정과 후퇴적과정 및 탄화물의 유입과정에 대하여 전반적인 검토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수혈 유구가 밀집한 호서지역 유적에서의 탄화물 수혈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탄화물의 퇴적토 내 위치를 기준으로 수혈을 세분하고, 이들의 각 유적 내 위치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몇 가지 특징이 관찰되었다. 여러 유적에서 수 개의 탄화물 수혈들이 연접하여 클러스터를 이루는 양상이 확인되었고, 일부에서는 이들 사이에 위치한 주거지에서도 탄화물이 포함된 내부 퇴적토가 관찰되었다. 이들의 동시 폐기나 인접한 소성 유구의 존재를 비롯한 다양한 생성 과정에 대해 논의를 시도하였다. 본 조사는 향후 탄화물 수혈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보다 정밀히 추출하기 위해, 종합적인 과학적 분석 연구가 필요성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Studies focused on the Bronze Age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addressed this topic through functional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storage pits that typified Songguk-ri culture storage facilities. This article concentrates on cases where an unusually high level of charred remains is contained in inside pits. This paper reviews the formation processes and postdepositional processes of the pit containing materials related to combustion events. Carbonized materials are naturally produced by various combustion episod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The depositional process of burnt remains occurs within a short duration. However, the proximity of these pits or dwellings containing charred remains may provide circumstantial evidence of disposal simultaneity. The distribution of pits bearing carbonized materials was, therefore, investigated targeting the sites in the Hoseo region where storage pits are densely concentrated. As a result, multifaceted aspects of charred pits located particularly adjacent to each other were detected in several sites. In turn, this allowed this study to extrapolate the contexts in conjunction with pit management. This investigation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that storage pits rich in carbonized remains,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and relatively neglected, may be the subject of research that can broaden the horizons of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future comprehensive scientific analytical examination to extract more precise information from carbon-rich storage pits, as well as studies of Bronze Age economic transformations based on insights gleaned from storage pits.

목차

Ⅰ. 서론
Ⅱ. 저장수혈과 내부 퇴적토
Ⅲ. 저장수혈과 탄화물 포함 퇴적토
Ⅳ. 호서지역 탄화물 수혈 분석
Ⅴ. 고찰
Ⅵ.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희진(Heejin Lee). (2025).호서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탄화물 포함 수혈에 대한 일고찰. 호서고고학, (), 38-78

MLA

이희진(Heejin Lee).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탄화물 포함 수혈에 대한 일고찰." 호서고고학, (2025): 38-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