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일과 한국의 중등학교 교원 양성 기관의 교직과정 운영 현황 비교 연구

이용수  75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German and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ing Training Institutions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이주호(Juho Lee)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29권 제1호, 49~7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독일과 한국 대학 내 중등학교 교원 양성 기관의 교직과정 운영 현황을 서로 비교하고, 국내 교직과정의 운영 및 개선을 위한 논의 시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독일 교직과정 운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현재 교직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독일 대학교를 각 연방주별로 1~2개씩 선정한 후, 각 대학교의 공식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교직과정 관련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이때 교직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5개의 구성 요소 중 전공과 전공 교수법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실습, 교육학, 기타 영역의 세부적인 운영 현황을 파악하는 것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한국 교직과정 운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A 대학교 사범대학의 공식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교직과정 관련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이후 독일과 한국 교직과정의 세부적인 운영 현황을 실습, 교육학, 기타 영역을 중심으로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 교직과정 내 실습 영역의 비율에 비해 독일 교직과정 내 실습 영역의 비율이 높다는 점과, 학교에서만 이루어지는 실습 과목만이 존재하는 국내 교직과정과 달리, 독일 교직과정 내에서는 학교 이외에 다양한 교육 관련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실습 과목도 존재한다는 차이점을 밝혀냈다. 이러한 차이점을 토대로 본 연구는 국내 교직과정 내 실습 영역의 비중을 높이는 것, 학교 이외의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실습 과목을 도입하는 것, 각 대학에서 다양한 교육학 관련 선택과목들을 개설하는 것 등 총 세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기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current status of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German and Korean Universitie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discussions on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Korea.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Germany, we first selected one or two German universities that currently operat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each federal state, and then collected and analyzed information 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posted on the official websites of each university. The focus of the analysis was on ident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status of the five components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which are practice, pedagogy, and other areas, except for the major and teaching method. To identify the operation status of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information o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posted on the official website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t University A in Korea. This study then compared the detailed operation status of the German and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practical, pedagogical, and other areas, and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practical areas in Germ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s higher than in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at, unlik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which have only practical courses in schools, Germ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have practical courses in various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 other than schools. Based on these differences, this study suggests three implication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practical course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troducing practical courses that take place in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other than schools, and offering a variety of pedagogy-related elective courses at universities.

목차

Ⅰ. 서론
Ⅱ. 독일 대학의 중등학교 교원 양성을 위한 교직과정 검토
Ⅲ. 독일과 한국의 중등학교 교원 양성 기관의 교직과정 비교
Ⅳ. 양국 교직과정 운영 현황의 비교를 통한 시사점
Ⅴ. 요약 및 후속 연구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호(Juho Lee). (2024).독일과 한국의 중등학교 교원 양성 기관의 교직과정 운영 현황 비교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29 (1), 49-75

MLA

이주호(Juho Lee). "독일과 한국의 중등학교 교원 양성 기관의 교직과정 운영 현황 비교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29.1(2024): 49-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