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청전>의 용궁 연구
이용수 57
- 영문명
- The Dragon King's Palace in Simcheong-jeon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저자명
- 이효순(Hyo sun Lee)
- 간행물 정보
- 『판소리연구』제57집, 177~20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심청전> 완판71장본과 신재효본 <심청가>를 대상으로 용궁 공간의 특성과 기능 을 파악하여 <심청전>을 구성하는 서사 세계의 내적 논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심청전>의 용궁은 세 가지 특성을 갖는다. 첫째, 천상과 유사하면서 지상(육지)과 인접한 공간이다. 용궁이 존재하는 바다는 하늘과 유사하면서 육지와 닿아있다. 둘째, 인당수로 나타나는 죽음 너머 또는 죽음 사이의 공간이다. 죽음을 넘어서 용궁에 도달하는 과정은 <심청전> 세계의 비밀을 엿보는 것과 유사하다. 셋째, 용궁은 천상의 질서에 직접적인 지시를 받는 비현실적인/초현실적인 질서의 공간이 다. 심청의 문제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천상계의 직접적인 지시를 받는 용궁이 소환된다. 따라서 <심청전>의 용궁은 천상의 질서와 지상계의 존재가 맞닿는 연결 통로이다. 이곳의 경험을 통해 심청은 훼손된 정체성을 재구성하게 된다. 용궁은 심청이 움직일 수 있도록 이끄는 중력과 같은 힘 그리고 이동을 통해 새로운 신분과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낯선 경험이 이뤄지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Dragon King's Palace in Simcheong-jeon, this study explores the inner logic of the narrative world that constitutes Simcheong-jeon. The Dragon King's Palace has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he palace is a space that resembles the heavens and is adjacent to the earth (land). The sea, where the Dragon King's Palace exists, is similar to the heavens and is in contact with the land. Second, it is the space beyond or between deaths, represented by the number of people. The process of reaching the palace beyond death is similar to glimpsing the secrets of the Simcheong-jeon world. Third, the palace is a space regulated by unreal or surreal order directly directed by the heavenly order. Therefore, the palace is summoned to resolve problematic situations in the heart. Thus, the Dragon King's Palace of Simcheong-jeon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heavenly order and the human world. Through her experience there, Simcheong restores her damaged identity. The Dragon King's Palace is a space with gravity-like forces that propel Simcheong to move and provide her with unfamiliar experiences that allow her to assume a new identity and status through movement.
목차
1. 서론
2. <심청전>의 용궁의 특성
3. <심청전>의 용궁의 기능: 훼손된 정체성의 재구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