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외 음악정서조율 연구의 음악 논거 및 충실도 분석
이용수 52
- 영문명
- Analysis of Music Rationale and Fidelity in Music Emotion Regulation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현주(Hyun Ju Chong) 김보현(Bohyun Kim) 김현주(Hyeon Joo Kim)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21권 제1호, 89~11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음악이 지닌 정서 반응에 대한 관심과 함께 음악의 조율적 기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서 조율을 위한 음악 중재 연구의 음악 선곡 근거, 활동 구성 항목과 실행 논거에 대한 충실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정 기준에 부합한 총 45편의 국외 연구를 수집하여 연구의 전반적 특성을 검토하고, 음악이 사용된 시간, 곡 수, 선곡 논거 및 주체(참여자 vs. 연구자) 등 관련된 기준과 실행 논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목표가 음악의 정서 조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연구가 사용된 음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와 일관된 통제가 부족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음악 활동, 음악 선곡 및 음악 사용 시간에 대한 타당한 근거가 제시되지 않았고, 음악의 정서 조율 기제에 대한 이론적 기반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음악정서조율(Music Emotion Regulation: MER)이라는 주제가 연구 영역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음악의 정서 조율의 기제에 대해 논거 충실도를 갖추어야 할 필요성을 암시한다. 이러한 엄격한 충실도는 음악이 지닌 치료적 고유성에 대한 연구 재현성 및 내실도를 높이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With increasing interest in the emotional responses to music, research on the regulatory mechanisms of music has been ongoing. This study examines the fidelity of music emotion regulation (MER) studies by analyzing the quality of rationales provided for using music to induce emotional regulation. A total of 45 internationally published studies were collected for review, and analysis was conducted on criteria related to the use of music, including duration, number of pieces, selection rationale, and the selecting agent. Despite the research objectives aiming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regulation effects of music,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studies lacked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music used, and there was weak consistency among the studies. Additionally, reliable evidence for music activities, music selection, and music implementation time was not provided, and there was a lack of logical basis for the regulatory mechanisms of music.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necessity for fidelity to the rationale of music emotion regulation to establish itself as a research area. Such rigorous fidelity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replicability and integrity of research on the therapeutic uniqueness of music.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외 음악정서조율 연구의 음악 논거 및 충실도 분석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21권 제1호 목차
- 학교 음악 경험과 20대 성인의 음악 생활화 동기에 관한 다중사례 연구
- 조성 및 템포 단서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음악 정서 지각
- Proactive Music Activities Focused on Exploring Musical Emotion to Enhance Self-Awareness and Intrinsic Motiva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언어재활을 위한 한국어의 음향적 분석과 선율화
-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