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성 및 템포 단서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음악 정서 지각
이용수 83
- 영문명
- Depending on Mode and Tempo Cues for Musical Emotion Identification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지(Yoonji Lee)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21권 제1호, 29~4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공와우이식(CI) 아동이 조성 및 템포 단서에 따라 구성된 음악에서 정서를 어떻게 지각하는지 알아보고 이를 건청(NH) 아동과 비교함으로써 CI 아동의 음악에서의 정서 지각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참여 대상자는 만 7세-13세 사이 CI 아동 13명과 NH 아동 36명으로 각 아동은 <장조+빠름>, <장조+느림>, <단조+빠름>, <단조+느림>의 4개 조건으로 구성된 음악을 듣고, 행복과 슬픔 중 해당 음악에서 느껴지는 정서를 선택하고 해당 정서가 어느 정도로 느껴지는지를 평정하는 과제에 참여하였다. 본 실험 전 규준 집단으로서 포함된 NH 아동이 NH 성인과 유사하게 정확한 정서 지각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한 사전 검증 절차를 진행하였으며,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CI 아동과 NH 아동의 정서 지각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그룹 모두 <장조+빠름>의 음악을 행복의 정서로 가장 많이 지각하였으며, <단조+느림>의 음악을 가장 슬프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I 아동은 <단조+느림>을 제외한 모든 조건의 음악을 행복의 정서로 지각하는 반면, NH 아동은 장조로 구성된 음악은 행복의 정서를, 단조로 구성된 음악은 슬픔의 정서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CI 아동이 정서를 지각하는 데 있어 조성 단서보다는 템포 단서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CI 아동의 음악에서의 정서 지각 과정을 보다 다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CI) perceive emotion in music depending on mode and tempo cues, and to compare them to NH children.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13 CI children who were implanted with either unilateral or bilateral cochlear implants aged between 7 and 13 years, 36 NH children, and 20 NH adults. The musical stimuli used in this study were piano recordings in either major or minor mode, with tempos of 130 bpm and 56 bpm. A comparison of the emotion perception levels of NH children and NH adults before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Meanwhile, the way they perceive different emotions from each music condition varies, in that CI children perceived all music conditions except as happy, while NH children perceived music in a major key as happy and music in a minor key as sad. It supports that CI children tend to rely primarily on tempo cues to process and identify emotional information from music, which is contrary to NH childre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enhanced and specified the understanding of how CI children perceive music emotion and use specific musical elements in the process. These findings indicate baseline data on emotion perception in music in CI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외 음악정서조율 연구의 음악 논거 및 충실도 분석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21권 제1호 목차
- 학교 음악 경험과 20대 성인의 음악 생활화 동기에 관한 다중사례 연구
- 조성 및 템포 단서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음악 정서 지각
- Proactive Music Activities Focused on Exploring Musical Emotion to Enhance Self-Awareness and Intrinsic Motiva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언어재활을 위한 한국어의 음향적 분석과 선율화
-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