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비교

이용수  85

영문명
Analysis of Joint Attention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the Type of Attentional Cue and Reinforcing Stimulus
발행기관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저자명
김온유(On Yoo Kim)
간행물 정보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21권 제1호, 69~8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공동주의 반응 행동이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비장애(neurotypically developing, 이하 NT) 아동 그룹과 비교하는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3세에서 5세 사이의 ASD 아동 13명과 NT 아동 14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의 반응을 유도하는 단서(음악적 단서 대 언어적 단서)와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에 대한 후속 자극(언어 자극 대 소리 자극 대 음악 자극)을 구성하고 총 6가지 과제 조건을 2회씩 총 12회 제시하였다. 먼저, 주의 유도 단서를 제공하고 3초 이내 대상자의 주의 전환을 평가하였고 대상자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이 나타난 경우, 후속 자극을 제공하였으며 후속 자극을 제공하는 동안 대상자의 사회적 참조 행동의 발생 빈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의 유도 단계에서는 음악적 단서를 제공했을 때 ASD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수준을 높게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이어 후속 자극 제공 단계에서는 음악 후속 자극이 ASD 아동의 사회적 참조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음악 후속 자극이 단서로서의 감각자극에서 나아가 대상자로 하여금 타인의 사회적, 정서적 정보를 이해하고 반응하도록 유도하는데 그 적용 범위가 확장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ASD 아동의 공동주의 행동 이후 제공하는 후속 음악 자극이 효과적인 사회적 강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joint attention response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change in response to musical cues and reinforcing stimulus, and compared them with neurotypically developing (NT) children. The participants included 13 children with ASD and 14 NT children aged between 3 to 5 years. The study established six task conditions, involving cues (verbal vs. musical) for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RJA) behaviors and reinforcing stimulus (verbal vs. sound vs. musical) for social referencing behaviors. These tasks were presented 12 times with two repetitions each.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roviding musical cues during the RJA phase increased levels of RJA in children with ASD,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Subsequently, musical reinforcing stimuli increased the frequency of social referencing behaviors in these children. This indicates that musical stimuli can extend beyond mere sensory cues, helping individuals to understand and respond to social and emotional cues from others. Moreover, these musical stimuli could serve as effective social reinforcement factors for this popul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온유(On Yoo Kim). (2024).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비교.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21 (1), 69-87

MLA

김온유(On Yoo Kim).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비교."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21.1(2024): 69-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