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재활을 위한 한국어의 음향적 분석과 선율화
이용수 39
- 영문명
- Acoustic Analysis and Melodization of Korean Intonation for Language Rehabilita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진희(Jin Hee Choi) 박정미(Jeong Mi Park)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21권 제1호, 49~6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의 특성을 음향학적으로 분석하고, 해당 분석 결과를 음악적 요소로 변환하여 생성된 선율의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근거 기반 음악-언어재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25세의 남성과 여성 각각 30명으로부터 3음절의 두 강세구로 이루어진 6음절 한국어의 음성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평서문과 의문문을 포함하였다. 이를 Praat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음절별로 음향적 속성을 추출하고, 각 음향적 속성, 문장 유형, 성별, 조사의 유무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강세구, 억양구에 따라 각 음절의 주파수와 지속시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고(p<.001), 의문문이 평서문보다 주파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p<.001), 평서문이 유의미하게 긴 경향을 보였다(p<.001). 여성 집단이 남성 집단보다 주파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p<.001), 지속시간도 유의미하게 긴 경향을 보였다(p<.001). 또한 조사인 음절의 강도가 유의미하게 세게 나타났다(p<.001).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장 유형, 성별, 조사의 유무에 따라 나타난 음향적 속성을 음악적 요소인 음고, 음가, 악센트로 변환한 선율들을 악보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6음절 한국어 문장을 대상으로 한 분석을 제시하였으며, 이 연구를 통해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대규모 한국어 음성 데이터의 선율화 시스템 개발 연구를 진행하려 하며, 이는 음악을 활용한 언어재활 분야의 기초 자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coustically analyze Korean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convert these findings into musical element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evidence-based music-language rehabilitation. We collected voice data from thirty men and thirty women aged 19-25, each providing six-syllable prosodic units composed of two accentual phrases, including both declarative and interrogative sentences. Analyzing this data with Praat, we extracted syllabic acoustic properties and conducted statistical analyses based on acoustic properties, sentence type, gender, and particle prese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yllable frequency and duration based on accentual phrases and prosodic units (p<.001), with interrogative showing higher frequencies and declaratives longer durations (p<.001). Female frequenc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s’ (p<.001), with longer durations observed (p<.001). Particle syllables also showed significantly stronger intensities (p<.001). Finally, we presented melodies converted from these acoustic properties into musical scores based on pitch, duration, and accent. The insights from this analysis of six-syllable Korean sentences will guide further research on developing a system for melodizing large-scale Korean speech data, expected to be crucial in music-based language rehabilit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외 음악정서조율 연구의 음악 논거 및 충실도 분석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21권 제1호 목차
- 학교 음악 경험과 20대 성인의 음악 생활화 동기에 관한 다중사례 연구
- 조성 및 템포 단서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음악 정서 지각
- Proactive Music Activities Focused on Exploring Musical Emotion to Enhance Self-Awareness and Intrinsic Motiva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언어재활을 위한 한국어의 음향적 분석과 선율화
-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