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Filmmaking Education in Elementary, Junior, and Junior High School: Concentrating on the Workplace Knowhow by SCAN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찬복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27호, 223~24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the appearance of personal computer and word processor changes the paradigm of publishing and writing, the wide distribution and popularity of camcorder changes the paradigm of filmmaking. Filmmaking was once thought as special and professional field, but now it is most people's favorite hobby. This interesting process of filmmaking has many educational effect when it is used as lessons in schools. The process of filmmaking can match most of knowhow identified by the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of United States. SCANS knowhow is made up of five competencies and a three-part of foundation skills and personal qualities that are needed for solid job performance. These include competencies that are resources, interpersonal skills, information, systems, and technology. The foundation competence requires basic skills, thinking skills, and personal qualities. When a student starts making films, although all can be called as filmmaking, lots of different tasks are involved, and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film, different experience and different approach are needed. Most filmmaking process begins with one simple idea. This simple idea gets developed and spreaded as it goes through brainstorming, research, and discussion. Without some extreme exception, a team is essential in filmmaking. When students compose a team and the team's common goal is filmmaking, communication between team mates are necessary. They have to stand the shortage of fund and poorly equipped production system. They have to find out solutions in various phase of film production. All of these hassle and agony become precious lesson, and even after they graduate, the lesson they get throughout the filmmaking process will stay in them, and work them as lifelong solution finding experience.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적 기억의 재구성을 통한 한국사회의 호명
- 영상 실습작품 평가에 관한 연구
- 한류의 SWOT 분석과 한국영화의 아시아시장 확대 방안 연구
- DI(Digital Intermediate) 환경에서의 디지털 색 보정(Digital Grading) 연구
- 초, 중, 고 과정의 영화 제작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 팜므파탈의 도상 연구
- 조선영화 최초 여배우에 대한 논의
- 영화교육에서 ‘상징적 창조성’의 계발을 위한 문화연구의 개입
- 2000년대 전반기 풍자코미디영화의 수사적 전략 분석
- 영화의 시점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트래킹 쇼트의 창조적 사용
- 장르적 상상력과 실재적 리얼리즘의 윤리학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