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Digital Grading in the Area of Digital Intermediate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정환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27호, 111~13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day every aspect of film produc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nfluenced by digital technology. The latest ground swell to hit film making is the Digital Intermediate process. In simplest terms the Digital Intermediate process or DI is the conversion of film to digital bits and then back to film again. The move of film industry toward Digital Intermediate(DI) as an alternative to the analogue chemical film-lab, and more, is now well under digital way. This not just because it can be a quicker, cleaner and more flexible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approach but because it is a far better fit for the requirements for today's modern media world. The growing sophistication of film-makers and the influence of technology is ever increasing the benchmark of the quality expected by the audience. Today every aspect of film produc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nfluenced by digital technology. The latest ground swell to hit film-making is the Digital Intermediate process. Digital intermediate technology is evolving quickly, and prices are expected to come down as new and faster equipment becomes available. In an environment where video acquisition is starting to make inroads in feature production, digital intermediate offers a new lease on life for celluloid, giving film makers many of the creative tools that their TV counterparts have used for years.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takes us one step closer to a full digital work-flow where all circled takes are scanned and a cut show is built entirely in the digital domain. The point is the price of DI is coming down and savvy producers will find ways to leverage this technique to reduce costs while increasing the quality of the viewing experience.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우리나라 DI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통한 효율적인 작업에 대하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적 기억의 재구성을 통한 한국사회의 호명
- 영상 실습작품 평가에 관한 연구
- 한류의 SWOT 분석과 한국영화의 아시아시장 확대 방안 연구
- DI(Digital Intermediate) 환경에서의 디지털 색 보정(Digital Grading) 연구
- 초, 중, 고 과정의 영화 제작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 팜므파탈의 도상 연구
- 조선영화 최초 여배우에 대한 논의
- 영화교육에서 ‘상징적 창조성’의 계발을 위한 문화연구의 개입
- 2000년대 전반기 풍자코미디영화의 수사적 전략 분석
- 영화의 시점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트래킹 쇼트의 창조적 사용
- 장르적 상상력과 실재적 리얼리즘의 윤리학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