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presentation of Korean Society with Historical Memory:
,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승환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27호, 201~2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Vietnam War has been regarded as a strange memory in Korean Society. It was an unusual experience that Korean Army as an foreign troops in other country. and as popular films represented confusing memory of Vietnam War in each period, 90's and 2000's of Korean society. was represented harm of Korean society and subjects with the imperialistic violence of the U. S government by interpellated memory of subjects' and reconstruct it. The film, futhermore, emphasized to correct collective memory of Korean society. This tendency was reflected to try reconstruct relationship between state and subjects. denied to accept a myth 'korea is always a good nation' in specialization of horror genre. Even though most of characters who were guilty, killed by ghosts, the film asked the responsibility of korean society. It asserted that Korean army to send troops overseas is not only responsibility of Korean government but entire Korean society. Both films showed that Koreans' perspective to the U. S, self esteem in global market since 1990's. The korean popular film industry in 2000's try to show Korean society itself, not to reconstruct a historical events. This is an evidence of showing and examine 'ourselves'. The Vietnam War is an exceptional memory in Korean modern history why it can be a good example for looking back and forward. & hope to interpellate the Vietnam war as a new one. These asserted that Korean society enjoyed the pleasure of imperialistic violence in Vietnam war. Both films showed violence aspect of war and constructual violence. These explain that the role of dominant state ideology and popular arts.
목차
1. 공식적 기억의 재구성
2. 베트남전 재현을 통한 한국사회의 새로운 호명
3. 역사적 기억의 재구성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적 기억의 재구성을 통한 한국사회의 호명
- 영상 실습작품 평가에 관한 연구
- 한류의 SWOT 분석과 한국영화의 아시아시장 확대 방안 연구
- DI(Digital Intermediate) 환경에서의 디지털 색 보정(Digital Grading) 연구
- 초, 중, 고 과정의 영화 제작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 팜므파탈의 도상 연구
- 조선영화 최초 여배우에 대한 논의
- 영화교육에서 ‘상징적 창조성’의 계발을 위한 문화연구의 개입
- 2000년대 전반기 풍자코미디영화의 수사적 전략 분석
- 영화의 시점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트래킹 쇼트의 창조적 사용
- 장르적 상상력과 실재적 리얼리즘의 윤리학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