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Lord of the Ring' as a Bible text: Based on the linear allegory of narration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성욱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2호, 513~54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research of the Bible has tried to read it as literature through the analysis of its similarities to literature as well as study it from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As Northrop FRYE said in his On Teaching Literature, “Without some knowledge of the Bible one simply does not know what is going on in English literature,” the knowledge of Bible has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literature. And it might be possible to find the archetype of Bible in the movie as it uses allegory like literature. Allegory is a mode of representing an abstract concept and its figuration into a specific image gives it a meaning. Goethe said, “Allegory is transforming a phenomenon into a concept, then transforming it into an image,” and it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The concept of allegory can be understood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Elizabeth Franzel, Walter Benjamin, and John MacQueen. This study tries to harmoni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Bible and a movie, in the framework of the allegory of Bible, and underst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etypical allegory of the Bible are transformed and used in the movie, , by dividing the internal relationship between the Bible and the movie into 5 stages of linear allegory; the matter of sin, conflict and struggle, suffering, resurrection and holy marriage. To avoid prejudice in the research, efforts were made not to interpret the allegory from theoretical thinking, and limit the scope of this research to the classification, comparison and understanding of the aspects of allegory in the Bible and the movie by reviewing the theories closely related to the subject in general. has been favorably accepted by theoretical, critical, and media experts as well as general readers. If the interpretation of the movie as an allegory of the bible is established,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the interpretation of the movie into critical discourse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죄의 문제 : 선악과와 절대반지
3. 대립과 투쟁
4. 고난
5. 부활
6. 결혼
7. 나오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현목 감독의 <오발탄>에 나타난 시각적 진술에 대한 연구
- 직무분석을 통한 현장 영화인력 교육과정 개발
- 한국영화의 해외진출 방안 연구
- 서양영화에 나타난 동양적 상상
- 성서 텍스트로 읽는 영화 <반지의 제왕>
- 한국영화의 디지털 시각효과 핵심기술 개발요소와 수요자 타당성 연구
-
의 다매체적 특성 - 국제공동제작과 지원정책의 상관성 연구
- 1970년대에 대한 영화적 기억
- 장률 감독 영화에서의 경계, 마이너리티, 그리고 여성
- 일제강점기 조선영화 담론의 선두 주자, 박기채 감독 연구
- 한국의 영화시장 개방정책과 이익집단의 역할
- 네티즌 온라인 영화평점과 국가 간 영화흥행 요인
- 아빠와 소녀
- “뉴 시네마”를 번역하기
- PBL을 활용한 영화감상교육
- 영화관객 연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기후>와 <쓰리 몽키스>의 연출 유사성 연구
- 디지털 3D 입체 영화와 기술에 대한 연구
- 이마무라 쇼헤이의 <복수는 나의 것> 연구 분석
- 스탠리 큐브릭의 <샤이닝>에 나타난 공간과 공포
- 한국영화 캐릭터의 이미지 재현을 통해 드러나는 한국영화문화의 정체성 왜곡에 대한 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