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scussion On The Identy Of Chacter's Image In Korean Movi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수남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2호, 95~11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invent of camera makes changed human's view from painting's image before that of camera. The photo's image also makes confuse human to watch the reality of object. Because photo's image is variously changeable and often distorted image. So the consume of image must gurantee the image of true character in society. Human's nature and emotions will be changed by the life style which is changable by the times. The negative image works makes traditional moral and sense of value. Specially the film industry distorted face's image to brainwash for their purpose of film industry and national profits by starsystem. Nowadays in Korean film how do they deal symbolic face especially making character's image. There are many points of problems in representing character's image. In postmoderntimes the conception of face's image is disorgnized and objected the unique of face. The signs of various the disorganizing film character presents a confused the standard value of daily Korean life. For eample we confirm that the symbolic image of teacher presents the devoted meaning to the Korean spectator but Korean film shows the negative image of teacher's character's image which is disorganized a various negative style and character. Korean film follows the style of Hollywood film and they create hollywood's character's image Which are not true character and brainwashes Korean audience in the drection of negative conscienceness. As the main artist of drama actor's images are emphasized. The actors choice their acting method and style to create character's image. As the total arts movie requires audience to feel complicate emotions. So modern films want total art's actor to appear. In the result of new actor appearing requires the new system of study on actor. We say, the movie is the dream. But the movie is shown the represent real life and symbolizing image for the healthy human's life. Therfore the making illusion is creates toward the value of Korean culture and Korean identical character's image by the new concept of acting system. The discussion of represented character's image in movie presents how to understand the main body of film works. And also warn that distorted character's image will bring up the crisis of Korean film culture.
목차
1. 영상으로 보는 얼굴 이미지론에 대한 견해
2. 해체된 얼굴이미지의 생산과 소비
3. 캐릭터의 재현방식과 연기술의 경향
4. 배우이미지와 캐릭터의 상관 관계
5. 유형화된 재현 이미지의 대표성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현목 감독의 <오발탄>에 나타난 시각적 진술에 대한 연구
- 직무분석을 통한 현장 영화인력 교육과정 개발
- 한국영화의 해외진출 방안 연구
- 서양영화에 나타난 동양적 상상
- 성서 텍스트로 읽는 영화 <반지의 제왕>
- 한국영화의 디지털 시각효과 핵심기술 개발요소와 수요자 타당성 연구
-
의 다매체적 특성 - 국제공동제작과 지원정책의 상관성 연구
- 1970년대에 대한 영화적 기억
- 장률 감독 영화에서의 경계, 마이너리티, 그리고 여성
- 일제강점기 조선영화 담론의 선두 주자, 박기채 감독 연구
- 한국의 영화시장 개방정책과 이익집단의 역할
- 네티즌 온라인 영화평점과 국가 간 영화흥행 요인
- 아빠와 소녀
- “뉴 시네마”를 번역하기
- PBL을 활용한 영화감상교육
- 영화관객 연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기후>와 <쓰리 몽키스>의 연출 유사성 연구
- 디지털 3D 입체 영화와 기술에 대한 연구
- 이마무라 쇼헤이의 <복수는 나의 것> 연구 분석
- 스탠리 큐브릭의 <샤이닝>에 나타난 공간과 공포
- 한국영화 캐릭터의 이미지 재현을 통해 드러나는 한국영화문화의 정체성 왜곡에 대한 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