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개의 연결된 구획실 내 화재 시 개구부 높이가 연기층 온도 상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전산시뮬레이션
이용수 0
- 영문명
- Numerical Simulation of Effect of Vent Height on Hot Gas Layer Temperature Rise in a Fire of Two Connected Room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김윤영(Yun Young Kim) 이치영(Chi 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9 No.2, 7~1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직 개구부로 연결된 2개의 구획실(R1과 R2)의 R1 또는 R2 화재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R1과 R2는 수직 개구부 VE1, R2와 외부는 수직 개구부 VE2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VE2가 일정한 R1 화재조건에서, VE1 높이가 낮은 조건이 높은 조건에 비해 화재실 내 연기층 온도 상승은 높았고, 인접실 내 온도 상승은낮았다. 유사하게, R2 화재 조건에서도, VE1 높이가 낮은 조건이 인접실 내 연기층 온도 상승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화재실 내 연기층 온도에 VE1 높이가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한편, VE1이 일정한 R1 화재 조건에서, VE2높이가 화재실 및 인접실 내 연기층 온도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기 계수가 동일한R2 화재 조건에서, VE2 높이가 낮은 본 연구가 높은 기존 연구에 비해 화재실 및 인접실 내 연기층 온도 상승이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 개구부로 연결된 2개의 구획실 내 화재 시, 2개의 수직 개구부 크기가 개구부를 통과하는 질량 유량을 변화시키고, 이는 화재실 및 인접실의 연기층 온도 상승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Numeric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for fires in two rooms (R1 and R2) connected by a vertical vent. R1 and R2 were connected through a vertical vent (VE1), while R2 and the outside were connected through another vertical vent (VE2). Under the R1 fire condition with a constant VE2 size, the case with a lower VE1 height exhibited higher and lower hot gas layer temperature rises in the fire and adjacent rooms, respectively, than that with a higher VE1 height. Similarly, under the R2 fire condition, the case with a lower VE1 height also exhibited a lower hot gas layer temperature rise in the adjacent room. However, the effect of the VE1 height on the hot gas layer temperature rise in the fire room was minimal. Meanwhile, under the R1 fire condition with a constant VE1 size, the VE2 height had a minimal effect on the hot gas layer temperature rises in both the fire and adjacent rooms. However, under the R2 fire condition with the same ventilation factor, the case with a lower VE2 height in this study showed a higher hot gas layer temperature rises in both the fire and adjacent rooms compared to that with a higher VE2 height in the previous study. This study confirmed that when two rooms are connected by a vertical vent, the sizes of the two vertical vents change the mass flow rate across the vertical vents, which, in tur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hot gas layer temperature rises in both the fire and adjacent rooms.
목차
1. 서 론
2. 전산시뮬레이션 방법과 조건
3. 결과 및 분석
4. 결 론
후 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2호 목차
- 2개의 연결된 구획실 내 화재 시 개구부 높이가 연기층 온도 상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전산시뮬레이션
- 수평 및 수직으로 긴 구획실 내 화재시 벽면 열전달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Na금속 화재·소화시험 설계 시 고려사항 조사 연구
- 119 구급대원의 주취자에 대한 인식 및 대응 실태 연구
- 목재펠릿의 열분해 및 화재물성 연구
- 고압 수소탱크 형상의 종횡비가 폭발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해석 연구
- 미분무의 열복사 감쇠에 액적 분사 속도 및 열원 조건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해석
- 외상 경험 소방공무원의 사건중심성과 PTSD 증상의 관계: 외상 후 인지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