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지체특수학교 직업교육혁신을 위한 교사참조요목의 적용 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Application methods of teachers' reference inventory for innov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of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희찬 정민호 김기석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7권 제3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정신지체특수학교의 직업교육을 혁신하기 위해 개발된 교사참조요목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혁신 모형 중 사회적 상호작용 모형과 학교단위에서 교육활동의 개선을 위하여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활동인 자율장학, 그리고 학교단위의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교육실천 계획인 학교교육과정의 작성에 관련된 문헌을 검토하여 교사참조요목의 적용 모형을 개발하였고, 구체적인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전문가협의회를 중심으로 하였다. 교육혁신 모형인 사회적 상호작용 모형의 확산 전략으로 인식, 관심, 평가, 시도, 채택의 단계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자율장학의 동료장학과 자기장학의 방법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였고, 학교교육과정의 작성 절차에 따라 기본방향설정, 시안작성, 지원계획수립, 시안 및 지원계획 검토․확정의 방법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methods of teachers' reference inventory for renov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of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teachers' inventory was developed by the authors previously. To investigate the purpose, the study reviewed literatures on Social Interaction Model as one of the education innovation models, autonomous supervision which is carried out autonomously to improve educational activities in each school, and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method in school to prepare educational program purposely and deliberately.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the study presented a study model and three specific application methods of teachers' reference inventory. In developing the specific application methods, the study meeting was held with teachers who were working as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as well as accomplished a master degree in the field. The teachers reviewed the application methods and suggested ideas and methods to improve the first version of the application methods. Based on the Social Interaction model, an application method to diffuse the teachers' reference inventory was developed concretely as a sequence of recognition, interest, evaluation, trial, adoption, as a diffusion strategy. Based on autonomous supervision, another application method was developed specifically as peer supervision and self supervision. Also,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method was suggested as a application method of teachers' reference inventory in school using the sequence of figuring out a basic direction, making a draft, planning supports, and reviewing and finaliz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교사참조요목의 적용 모형 개발
Ⅳ. 교사참조요목의 적용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