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와 관련된 국내외 실험연구의 내용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Content Analysis of Korea and Foreign Experimental Studies on Language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황도순 오혜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9권 제1호, 89~11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외 청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언어 연구 중 실험 연구의 내용을 분석하여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05년 사이에 발간된 국내외 학술지 중 청각장애 아동의 언어와 관련된 실험연구 논문 66편을 선정하였다. 연구 내용의 분석 유형은 대상자 특징, 중재환경, 중재자 유형, 연구의 부수적인 결과와 독립변인, 종속변인으로 세부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자 특징 중 연구대상의 연령에 있어서는 4~5세가, 청각손상 정도에 있어서는 난청보다는 농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대상 아동들은 인공와우 이식보다는 보청기를 더 많이 착용하였으나, 언급하지 않은 논문들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장애진단 시기와 주된 의사소통의 수단 등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은 논문들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재환경 유형에서는 치료실 상황이, 중재자로는 실험자가 직접 중재를 실시한 연구가 많았으며, 신뢰도를 비롯한 연구의 부수적인 검증 결과인 중재 충실도 및 사회적 타당도와 일반화, 유지 등에 관한 평가를 실시한 연구들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연구의 중재방법에 해당하는 독립변인 유형으로는 구조화된 중재 방법 중 검사 도구를 활용한 1:1훈련 방법을 가장 많이 적용했으며, 중재 결과인 종속변인 유형으로는 수용언어 중 언어의 내용에 해당하는 의미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과제의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ABy analyzing the research contents of the papers on Auditory-Language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which have been presented in research paper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trend of Auditory-language research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also to present some tasks which have to be studied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66 papers on Auditory-Language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were chosen and subsequent categories for research contents were also analyzed. The subsequent categories for research methods of contents included subject, intervention setting, intervention agents and additional outcomes and the subsequent categories for intervention method or effectiveness include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researches on 4〜5 years for subject's age, researches on clinical environment for intervention setting and researches on researchers for intervention agents were done most in number respectively. Most of the researches did not evaluated reliability but only a few researches evaluated generalization data, maintenance data, data on treatment fidelity and social validation measures. In the type of research intervention method content, 1:1 drill method was used the most for independent variables while receptive language was more used than express language for dependent variabl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유아를 위한 협력교수의 수행요소와 전제조건에 관한 연구
-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청각장애학생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심상그리기를 활용한 과정중심 글쓰기가 쓰기학습장애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을 활용한 총체적 언어활동이 장애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 자기조절 신체훈련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의 구어기능에 미치는 효과
-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와 관련된 국내외 실험연구의 내용 분석
-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대안적 해결 사고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일반 중학교 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장애 태도 연구
- 신문활용 탐구공동체 교육활동을 통한 일반 중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
- 특수아동 대상 수학문장제 문제 연구 동향 분석
- 독일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방안 분석과 한국에의 시사점 탐색
- 대화식 저널 쓰기가 정신지체 아동의 반성적 쓰기와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 위험군에 처한 영아 조기선별진단도구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 일반초등학교 체육교사들의 통합 체육수업에 관한 인식
-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실태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 특수교사 임파워먼트 척도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