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Auxiliary Verb ‘-a/eo beorida’ for Japanese L1 Learner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희경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37호, 175~19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an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auxiliary verb ‘-a/eo beorida(-아/어 버리다)’ for Japanese L1 learners of Korean. I have scrutinized the functions of Korean auxiliary verb ‘-a/eo beorida(-아/어 버리다)’ and Japanese ‘-teshimau(-てしまう)1)’ in terms of Contrastive Analysis in order to provide a practical approach. Korean auxiliary verb ‘-a/eo beorida’ is differentiated from ‘-teshimau’ in that the honorific morpheme ‘-(eu)si’ is usually combined with auxiliary verb for one time, where its Japanese counterpart can have honorific morphemes with the both of verb and auxiliary. Secondly, Korean ‘-a/eo beorida’ and Japanese ‘-teshimau’ show different patterns of co-occurrence restrictions regarding the verbs which have semantic features such as [+Affective], [+Emotional], and [+Positive]. Thirdly, another co-occurrence restriction with the verbs of ‘possibility’ have been searched. Korean auxiliary verb ‘-a/eo beorida’ has been presented with the only brief description in the most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Japan.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a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that the learners could practice the grammatical item in a communicative context.
                    목차
1. 서론
	                       
	                          2. ‘-아/어 버리다’와 ‘-てしまう’의 선행 연구와 학습자 오류
	                       
	                          3. ‘-아/어 버리다’에 대한 교수 학습 방법론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Influences of Biliteracy Practices on Identity Construction
- 은유문 어휘에 대한 의미 반응 연구
- 대만에서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문제점
- 일본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 보조동사의교수ㆍ학습방법론연구
-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문적 구두 발표 장르 분석
- 다문화가정자녀를 위한 ‘학습 한국어’ 교재 개발의 방향
- ‘감각적 증거’ 양태성과 한국어 어미 교육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구어오류수정에 대한 인식조사
- 다문화 시대 한국어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과제
- 한국어 교육에서의 읽기․쓰기 통합 교육 연구
- 중국인 학습자의 정도부사 ‘너무’의 사용 경향 연구
-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 ChatGPT 기반 TOPIK 말하기 평가피드백 모형 개발 및 적용
- AI 기반 피드백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에서의 논점과 설계 근거
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