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f Semantic Interpretation on the Lexicon of the Metaphoric Sentence: with a focus elementary-school learners(4-6 grader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하길종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37호, 317~34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meanings of Lexical items are mostly used as lexical meanings. But according to the aspect how to use them, they appear to be different from the lexical meanings. The object word in the metaphoric sentence can be used to be different from lexical meaning according to its relation to the subject of metaph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a hearer reacts to the lexical items when they are used in different circumstances, and also to compare a hearer's reaction to the object words in metaphoric sentence with his reaction to them when they are presented as non-metaphoric words. The high graders (fourth to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react not with lexical meanings to the presented lexical items but mostly react with words or meanings in relation to the linguistic circumstance that they are used. And at the same time they mainly react with simple meanings or words, not with multiple words to the presented object words of metaphoric sentence. When they are instructed the presented lexical items by teachers, they show high rate in reaction to the instructed meaning. The hig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mostly acquire the meaning of the lexical item from school and networks. When the subject of metaphor in metaphoric sentence appear as 'I,' or 'We', they react as if the subject of metaphor is the reactor himself.
목차
1. 머리말
2. 의미 반응
3.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Influences of Biliteracy Practices on Identity Construction
- 은유문 어휘에 대한 의미 반응 연구
- 대만에서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문제점
- 일본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 보조동사의교수ㆍ학습방법론연구
-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문적 구두 발표 장르 분석
- 다문화가정자녀를 위한 ‘학습 한국어’ 교재 개발의 방향
- ‘감각적 증거’ 양태성과 한국어 어미 교육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구어오류수정에 대한 인식조사
- 다문화 시대 한국어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과제
- 한국어 교육에서의 읽기․쓰기 통합 교육 연구
- 중국인 학습자의 정도부사 ‘너무’의 사용 경향 연구
-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 ChatGPT 기반 TOPIK 말하기 평가피드백 모형 개발 및 적용
- AI 기반 피드백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에서의 논점과 설계 근거
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