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활용한 해외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이용수 26
- 영문명
- Korean Language Curricula for Overseas Universities: How to Use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지혜 박나리 강현자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71호, 93~12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2010, a study started to develop a standard guidelin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oth in Korea and abroad, and eight years later, along with four extra editing works,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has completed. This final outcome has been used to develop Korean language curricula and teaching materials in Korea and abroad, and has been actively utilized in the curriculum design and the textbook development at the King Sejong Institute. It is expected that the standard curriculum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such as educational goals, program perio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both in Korea and overseas. However, since the standard curriculum mainly focuses on general aspects and content, there seems to be little guidance on how to apply it in the field, making it difficult to actively use it. In particular, for universities outside Korea, which differ greatly depending on regions and institutions, it is difficult to set a practical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the standard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use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in developing Korean language curricula for programs in overseas universities. For this, first,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verseas universities is examined. An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needs from the field are analyzed to set proper target level of education applicable to overseas universities. In addition, the study tried to show a practical application process by using examples.
목차
1. 서론
2. 해외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3. 해외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안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인 중ꞏ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지각적 학습스타일과 듣기 전략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토론 불안 연구
-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과 과제(2)
- 재중동포 이중 언어 교육의 실제와 개선 방안
- 마그레브 아랍어와 프랑스어 이중언어 화자의 한국어 모음 지각
- 미얀마 현지에서의 한국어 모음 교육 현황과 교육 방안 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범언어적 절 연결 의미 유형에 기초한 ‘-는데’ 연구
- 이중언어 아동과 단일언어 아동의 언어 능력 발달
- 한국어 학습자의 평폐쇄음 뒤 경음화 실현 양상 및 교육 방안에 대한 일고찰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폐쇄음 발음에 대한 한국인의 지각 연구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활용한 해외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발달과 어휘 사용 양상 연구
- 영어와 한국어의 L2 유창성 습득 및 판단 비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