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ilipin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college: The case of Philippine Normal University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김지인 유성상
- 간행물 정보
-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Vol.32, No.3, 79~10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필리핀 교원양성대학의 세계시민교육 사례를 분석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여, 교원양성대학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해 시사하는 바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필리핀에서 세계시민교육에 선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Philippine Normal University(PNU)의 세계시민교육 사례를 선정하여 세계시민교육의 목적과 배경, 교육과정 및 연구, 운영체계의 틀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NU는 여성학과 인권학에 두각을 나타낸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세계시민교육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PNU는 전교생을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을 시행할 뿐 아니라 비교과 교육인 현직교사 연수와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시행하였다. 운영은 사회과학대학와 변혁적 교육센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국제기구와의 협업을 통해 시행하는 경향이 있었다. 최근 일원화된 운영을 위해 세계시민교육 센터를 설립하였다. 본 사례는 교원양성대학이 기여할 수 있는 세계시민교육의 영역이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교육, 연구를 포괄함에 다양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한 국가의 세계시민교육의 확산에 있어서도 교원양성대학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in teacher education colleges in the Philippines and draws out its features to find implications for GCED in teacher education colleges. To this end, Philippine Normal University (PNU), a leading participant in GCED in the Philippines, was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program’s purpose and background, curriculum and research, and management system. Analysis shows that the PNU has been actively engaged in GCED based on its historical background in women and human rights studies. The PNU's GCED program mainly adopted the concept of GCED presented by UNESCO while emphasizing the behavioral dimension. This case demonstrates that the areas of GCED to which teacher education colleges can contribute are diverse, encompassing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research. Teacher education colleges can play a leading role in expanding GCED in a country through their active engagement in the agenda demonstrated by institutional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