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고등학교 수학 학습 내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
- 영문명
- Influence on High School Mathematics Learning Content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ocused on Mathematics Top-Ranked Students in High School Liberal Arts Course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박영용 박윤정 이헌수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19권 제2호, 177~1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능의 수학영역의 출제 유형이나 난이도 등이 고등학교 문과계열 수학 교수․학습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최근 5년간(2012년~2016년) 수능 수학 A형(나형)의 출제유형과 난이도를 살펴보고, 수능 수학 A형(나형)의 출제유형과 난이도가 고등학교 문과계열 수학 교수․학습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등학교 수학내신인 상위권인 학생들의 수능등급을 결정하는 오답률이 90% 이상인 문항은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단원에 질적․양적으로 상당히 편중되어 출제되었다. 둘째, 수능 상위 등급을 결정하는 오답률이 높은 문항이 자주 출제되는 내용영역에 수학 교수․학습이 편중되는 왜곡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influence of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for high level math problems of A-type of mathematics section o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To analyze the influence, we compare and analyze units and field of questions set at examinations based on the rate of wrong answers in A-type mathematics test of the CSAT from 2012 to 2016. Also, we study the recognition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bout units and fields on math which need to allow more time to improve grade for A-type of mathematics section on the CSAT. We found following facts. First, high level math problems determining rank of high rank students on the CSAT was taken mostly from the unit related a exponential function and a logarithmic function. Second, these problems need more time for a calculation rather than an ability for students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quality of education. Third, high rank students spend a lot of time to study more important units and fields of mathematics on the CSAT such as a exponential function and a logarithmic function, and teachers spend a lot of time to teach them.
목차
Ⅰ. 서론
Ⅱ.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관련된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